한국해상그리드산업협회(KOGIA)는 28일 서울시 중구 상연재에서 '해상풍력 전력망 확충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30년 국내 풍력 설비 보급 용량을 18.3GW로 산출했다. 이는 지난 10차 전기본에서 계획한 16.4GW 대비 12%가량 늘어난 규모다.
이처럼 해상풍력 시장은 빠른 속도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해상에서 발전한 전력을 육상으로 보내고 기타 지역, 특히 전력 수요가 많은 수도권에 육상으로 송전하는 전력망의 중요성 커지는 상황이다.
이성규 한국전력공사 재생에너지대책실장은 대규모 해상풍력 접속 설비를 효율적으로 건설하기 위해서는 공동접속 전환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실장은 "전력계통 이슈 대응을 위한 전력망 확충을 지원하고 전력수급 안정을 위한 전력망 최적화와 발전사업자 공용망 직접 건설 제도 정비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규모 해상풍력 계통 연계를 위한 해상풍력 공동접속 설비 구축을 언급하며 "이를 통해 다수의 발전사가 공동으로 접속설비를 이용해 망운영 최적화와 비용 효율을 제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윤영 CIP(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 상무는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과 송전망 보강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에너지 아일랜드가 필요하다"라며 "유럽 주요 국가들의 사례를 참고해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솔루션을 도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한국형 해상 에너지 허브 및 HVDC 컨셉을 소개하며 "신재생 전력 송출지와 수도권 첨단 산업단지 구역을 해상으로 직접 연결하면 그리드 부족을 해소하고 해상풍력 발전소를 빠르게 확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