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농협·신협·수협·산협 등 국내 4개 상호금융에서 취급한 비조합원대출은 203조7797억원으로 전체 대출(510조6994억원)에서 39.9%를 차지했다. 조합원대출(154조2899억원, 30.2%)이나 준조합원대출(152조6298억원, 29.9%)보다 큰 규모다. 준조합원은 농업·어업을 하지 않고 영업지역 내에 주소를 둔 조합원이다.
비조합원대출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5년 전인 2019년 6월에는 조합원대출(133조8826억원)이 비조합원대출(122조2917억원)보다 많았다. 하지만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조합원대출이 15.2% 늘어나는 동안 비조합원대출은 66.6% 불어났다. 2021년 두 대출 규모는 뒤집혔고, 올해까지 비조합원대출과 조합원대출 차이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특히 신협은 같은 기간 조합원대출이 6% 늘 때 비조합원대출은 203.7% 폭증했다. 전체 대출에서 비조합원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6.3%에서 48.9%로 급등했다.
그간 상호금융은 지역과 서민 금융을 지원하는 역할을 도맡았다. 하지만 농업·어업·산림업 등을 기반으로 한 조합원대출이 부실 우려가 크다 보니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원인 비조합원대출로 선회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 생활권을 기초로 한 협동조합의 정체성이 사라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상호금융 몸집은 커지고 있으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내부통제 실패 등으로 건전성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서민 금융 편의를 돕는 상호금융 본연의 취지를 살리는 것은 물론 대형 단위조합에 대한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을 받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