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방송 TBS가 비상 경영에 돌입했습니다. TBS 임직원은 현재 무임금 상황에서 방송 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13일 낮 12시 30분께 TBS 라디오 FM 95.1mhz에서는 TBS정보센터의 비상 경영 상황을 알리는 아나운서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이어 배경음악(BGM)만 계속됐다.
TBS 라디오는 현재 평일 기준 한두 시간 정도 진행하는 3개 프로그램만 방송한다. 저녁 5~7시 시간대 청취자 퇴근길을 책임지던 ‘함께 가는 저녁길’ 프로그램도 지난 11일 방송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같은 날 서울 마포구 상암동 TBS가 위치한 건물 3층 ‘티 다방’에선 직원들이 한창 근무해야 할 평일임에도 인기척이 느껴지지 않았다.
서울시 산하 출연기관이던 TBS는 그동안 예산 중 70%가량을 시에 의존해 왔으나 올 6월을 끝으로 지원이 끊기며 심각한 재정난에 빠졌다. 앞서 서울시의회는 방송인 김어준씨 등 정치적 편향성을 문제 삼아 2022년 11월 시의 예산 지원 근거인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폐지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지원 종료 이후 TBS 직원 240여 명은 40%가량 삭감된 월급으로 버텨왔지만 이마저도 지난달 완전히 끊겼다. 이에 필수인력을 제외하고 전 직원 무급휴직을 결정했다.
자녀가 둘이라는 TBS 직원 A씨는 “이번 달까지는 마이너스 통장으로 빚을 내 거의 (생활비를) 메꿨는데 다음 달부터는 진짜 버틸 수가 없다”면서도 “남아 있는 직원 중 절반 이상이 젊은 청년들인데 임금 삭감 등으로 직장·결혼 등 미래가 불안해진 이들 상황이 너무 어렵다”고 직원들을 걱정했다.
직원 B씨는 “임금이 줄어드는데 방송을 하던 사람들이 특별한 기술이 있는 것도 아니고 막노동부터 국밥집 설거지, 편의점 야간 알바 등 직원들이 몸 쓰는 알바를 하기 시작했다”며 “생활비가 필요해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어야 했던 분들이 건강보험료 미납으로 그것마저 막혀 난리가 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납금을 다 냈다고 들었지만 앞으로 또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실업급여라도 받아 이직 준비를 하겠다고 나간 분들도 있으며, 자녀 있는 분들은 육아 휴직을 내서 그나마 생활을 유지하는 분도 있다고 들었다”고 했다.
TBS 노조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남은 예산 잔액은 1억원이다. 연 5억원이 들어가는 임대료는 절반밖에 내지 못했고, 월평균 수억 원이 투입되는 관리비와 송출비도 연체 상태다.
여기에 지난달 11일 시 출연기관 지위에서 해제되면서 시와 완전히 분리됐다. 이에 TBS는 민간 자금을 받아 인건비 등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에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정관 변경 허가를 신청했으나 이마저 거부됐다.
김태규 방통위원장 직무대행은 지난달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TBS 정관 개정은 지배구조 변경에 관한 사항이므로 위원회 심의·의결이 필요하다며 신청을 반려했다. 위원장 탄핵심판으로 방통위 1인 체제가 한동안 이어질 거란 점을 고려하면 TBS 정관변경은 요원하다.
문제는 TBS는 법적인 지위도 지역방송이 아니어서 정부 지원금조차 받을 수 없는 상황이란 점이다. 여기에 외부 지원도 막히면서 오는 12월 TBS 주파수 재허가 여부까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15일 서울시와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TBS 문제가 국감 주요 의제로 끌어올려질지 관심이 쏠린다. 서울시 국정감사 증인으로 정태익 전 TBS 대표, 이성구 TBS 대표이사 직무대행,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 등이 채택된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날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도 TBS 관련 증인이 출석할 예정이다. 다만 관련자에 대해 책임을 추궁하는 수준을 벗어나기 어려울 거란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