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씨는 "고수온에 적조, 해파리 문제까지 겹쳐 유독 힘든 여름을 보냈다"며 "수조에 액화산소를 주입하거나 얼음을 쏟아붓는 등 수온을 낮추기 위해 별의별 수단을 총동원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허탈해 했다.
실제 22일 해양수산부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올해 고수온에 의한 양식 어류 폐사 규모는 지난 20일 기준 4422만마리에 달한다. 조피볼락(우럭)과 말쥐치, 강도다리 등을 중심으로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폐사량(3177만9000마리)을 뛰어넘었다.
피해액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지난해 피해액은 483억원으로 2023년(10억원)보다 44배 가까이 급증한 바 있다.
양식업 피해액은 매년 초 해수부가 재정당국과 합의해 고시하는 '복구 지원 단가'를 기준으로 산출한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13년 동안 전체 양식업 피해액(3260억원) 중 고수온으로 인한 피해는 1947억원으로 60%를 차지했다.
올해 피해 규모는 2018년(713억원·6396만마리 폐사)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 유력하다. 지난 8월 전국 폭염 일수는 16.9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가장 많았다. 9월 들어서도 지난 21일 기준 폭염 일수가 6일로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올해 고수온 특보(주의보·경보)는 지난해보다 나흘 이른 7월 24일부터 발령돼 61일째 해제되지 않고 있다. 2017년 고수온 특보 체계가 만들어진 후 최장 기간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바닷물 수온이 28도로 오르면 주의보, 28도 이상이 3일 이상 지속되면 경보를 각각 발령한다. 지난해에는 57일간 특보가 이어지다가 9월 22일 해제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올 들어 정확한 피해 규모는 고수온 특보가 해제된 이후 확정하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수치로 추산하면 역대 최대 피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고수온 등 기후변화로 인한 양식어가 피해 확산과 수산 자원 변동성 확대 대응을 위해 부심하고 있다. 해수부는 이상기후로 피해를 본 352개 어가에 재해복구비 139억원을 1차로 선지급했다.
또 관계기관 합동 태스크포스(TF) 논의를 통해 수산·양식산업 개편과 수산물 수급 안정 등을 담은 '수산 분야 기후변화 종합대책(가칭)'을 연내에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