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사들이 값싼 중국산 음극재로 몰려들면서 포스코퓨처엠의 올해 천연흑연 음극재 공장 가동률이 40%대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9일 배터리소재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의 음극재 공장 가동률은 2021년 70%대에서 2022년 60%대, 2023년 50%대 등으로 매년 쪼그라들고 있다. 올해 1분기와 2분기 포스코퓨처엠의 음극재 매출은 493억원, 503억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27.18%, 10.5% 줄었다.
현재 전 세계 음극재 생산의 90% 이상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고, 음극재 업체의 글로벌 점유율 중 1∼9위는 모두 중국 업체들이다. 음극재 핵심소재인 흑연의 경우에도 중국산 의존도가 95%가량으로 의존도가 높다.
포스코퓨처엠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천연흑연에 기반한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지만, 지난 1분기 기준 글로벌 점유율에서 중국 업체들에 밀려 10위권에 간신히 올랐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서는 포스코퓨처엠의 올해 3·4분기 음극재 매출 감소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가격 경쟁에서 우위에 서 있는 중국이 음극재 시장을 장악하는 상황에서 전기차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음극재 수요가 줄어든 데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중국산 흑연을 배제하는 ‘외국우려기업(FEOC) 규정’이 오는 2026년까지 2년간 유예되면서 국내 배터리사들이 값싼 중국산 음극재로 몰려들고 있어서다.
일각에서는 전기차 캐즘까지 덮친 향후 2년간 포스코퓨처엠의 음극재 사업 자체가 고사 위기에 내몰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2024년 경제분석 및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 연구’ 보고서에서 “배터리 업종은 중국의 전기차 생산 보조금, 미국의 셀 생산 보조금과 같이 국내 음극재 공장에 대한 생산 보조금을 검토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