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장사가 올해 상반기 100조원대 영업이익을 회복하며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코스닥 상장사는 수익성과 건전성 모두 악화했고 적자·좀비 기업마저 늘어 부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순이익 기준 코스닥 상장사 중 적자지속 기업은 316개사로 전체의 27.57%를 차지했다. 적자지속 기업 수는 2022년 228개사, 2023년 298개사에서 3년 연속 증가했다. 전체 대비 적자지속 기업 비중도 2022년 19.45%, 2023년 21.24% 등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증시 밸류업 프로그램 역시 저 주가순자산가치(PBR) 기업 위주라 코스닥 상장 기업에게는 별 소용이 없다. 수년 전만 해도 '코스피 2부 리그'라고 불렸던 코스닥 시장은 부실 기업마저 늘어나며 우리 증시의 우범지대가 되고 있다.
상장폐지 사유 발생,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 등의 이유로 현재 주식 매매거래가 정지된 코스닥 상장사는 64개사다. 매매 정지 기간이 2년이 넘은 곳도 12곳이나 된다. 한계에 다다랐음에도 자본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단순 비교로도 코스닥시장 상장 종목 수는 2020년 1471개에서 2024년 현재 1746개로 늘었지만 시가총액은 385조5826억원에서 19일 현재 380조8461억원 수준이다. 전날 기준 코스닥 주가수익비율(PER)은 95.66배다. PER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1년치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높을수록 주가가 고평가돼 있다는 의미다. 역대 최고치는 2005년 10월 기록한 118.3배였다.
시장 자체도 소수 대형주 위주로 몸집이 불어나고 있는 데다 거래도 시가총액 상위 기업으로만 쏠리고 있다. 코스닥 시총 하위 종목은 거래량이 1000주에 못 미치는 경우도 많다. 8월부터 이날까지 일평균 거래대금도 7조46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23% 줄었다.
투자자의 관심도 사라지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올해 들어 10.28% 하락했다. 주요국 가운데 수익률 '꼴찌' 수준이다. 지수 비중의 대부분을 이차전지 기업,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주로 차지하면서 올해 주가가 오르지 못했다.
코스닥은 지난 5일 주가가 폭락한 뒤 회복되는 과정에서도 부실한 체력을 그대로 드러냈다. 최근 5거래일간 코스피가 2.14% 오른 반면 코스닥은 0.6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업종별 실적도 코스피와는 정반대다. 올해 상반기 21개 업종 중 순이익이 증가한 업종은 7개에 그쳤다. 코스피 17개 업종 가운데 11개 업종의 순이익이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그나마 코스닥 시장을 떠받치고 있는 기업들이 우량 기업들을 모아 놓은 글로벌 세그먼트에 편입된 상장사 42개사다. 이들 기업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79% 감소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0.37%, 18.11% 증가했다. 미편입 기업은 영업이익이 4.29%, 순이익이 15.64% 각각 감소했다.
적자·좀비 기업들이 늘어나며 코스닥 시장에 대한 신뢰가 점차 사라지자 금융당국과 유관 기관도 좀비 기업의 증시 퇴출을 강조하고 나섰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좀비 기업에 대해) 원칙에 입각한 정리가 이뤄져야 다른 건전한 기업으로 투자 수요가 이동할 수 있다"며 부실기업의 증시 퇴출을 강조한 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역시 최근 "거래소와 상장 유지, 상장 퇴출 기준을 높이고 신속하게 진행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상장 당시보다 시가총액이 현저하게 하락했거나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 좀비 기업의 경우 일반 주주들이 빠져나갈 수단이 없어 이런 기업을 계속 유지하는 게 맞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