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수요 회복에도 올해 상반기 1인당 면세점 구매액이 50만원대로 급감했다. 코로나19 엔데믹 원년인 지난해보다 구매액이 줄어들면서 업황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행 수요는 회복하고 있으나 유커(遊客·중국인 단체관광객) 유입이 지연되고, 고환율로 실질 구매객 수가 줄어 면세점 실적도 부진한 모양새다.
같은 기간 구매객 수는 949만7000명에서 45.6% 증가한 1382만5000명인 것과 비교하면 저조한 수치다.
전체 매출액을 구매객 수로 나눈 1인당 구매액도 68만6000원에서 53만5000원으로 22% 감소했다.
연도별 1인당 구매액은 2019년 47만9000원, 2020년 96만8000원, 2021년 266만4000원, 2022년 195만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지난해 감소세로 전환한 뒤 올해 더 줄었다.
이러한 수치는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2022년은 국내외 여행 제한으로 다이궁(代工·보따리상) 매출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하며 비정상적으로 높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와 올해 보따리상 비중이 50~60%로 작지 않았던 만큼 1인당 구매액 감소를 오로지 다이궁 변수만으로 설명하긴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문제는 여행 수요가 코로나19 전인 2019년보다 90% 이상 회복한 상황임에도 면세점 구매가 활성화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올해 상반기 구매 고객 수는 2019년(2435만4000명) 대비 57%에 불과하다.
내국인 구매객은 1473만6000명에서 36.2% 줄어든 940만2000명, 외국인은 961만8000명에서 54% 감소한 442만3000명이다. 유커의 부재 속 외국인 개별 관광객의 소비 패턴이 먹거리와 체험 중심으로 바뀐 데다 고환율 탓에 내국인마저 발길을 돌렸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건비와 같은 고정비나 공항 임차료, 마케팅 비용 등을 포함한 판매관리비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 업체별 실적에도 반영됐다.
업계 1위인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상반기 416억원 영업이익을 거뒀지만 올해 상반기 적자 전환해 463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신라면세점(70억원)과 신세계면세점(158억원)의 영업이익도 각각 83.8%, 75.5% 급감했다. 현대백화점면세점도 지난해 상반기(-165억원)에 이어 올해도 9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