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업계에 따르면 전삼노는 "조합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사측을 지속 압박할 투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조합원에게 오는 5일까지 현업에 복귀하라는 입장을 밝혔다.
전삼노의 이같은 결정은 '무임금 무노동' 원칙에 따른 파업 참여 조합원들이 임금 손실 누적, 현실적으로 어려운 손실금 보상 등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삼노는 투쟁을 이어가려면 '장기 플랜'이 필요하다고 보고 사회적 쟁점화를 위해 국회, 법조계, 시민단체 등과 연대한다는 계획이다.
손우목 전삼노 위원장은 지난 1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자택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사측은 총파업을 견딜 수 있다, 버틸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데 그럼 저희는 더 큰 투쟁으로 가야 한다"며 "국회나 (우리를) 지지하고 있는 단체를 동원해 사회 이슈화를 시킬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처럼 전삼노가 삼성전자 사업장을 벗어나 활동 반경을 넓히는 것은 노조 힘만으로는 임금교섭을 이뤄내기 어렵고, 현업 복귀 후 파업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8일 총파업에 돌입한 전삼노는 지난달 29일부터 사흘간 사측과 임금 인상과 성과급 제도 개선 등을 놓고 집중 교섭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최종 결렬을 선언했다.
전삼노는 당초 오는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정치권 등과의 연대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힐 예정이었으나, 일정 조율 과정에서 순연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삼노는 이후 사무직노조(1노조)와의 통합 추진 등을 통해 대표교섭 노조 지위를 유지하는 방안을 강구하며 장기전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8월 대표교섭권을 확보한 전삼노는 1년이 되는 5일까지만 대표교섭 노조 지위를 보장받는다. 6일부터는 1개 노조라도 사측에 교섭을 요구하면 개별 교섭을 하거나 다시 교섭 창구 단일화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5개 노조 중 하나인 동행노조가 "대표 노동조합의 총파업을 통한 협상이 회사와의 첨예한 대립으로 더 이상 합리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없는 길로 들어서고 있다"며 전삼노의 파업을 비판하고 나선 만큼 동행 노조가 사측에 교섭을 요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와 관련해 손 위원장은 "우리가 가장 큰 노조이기 때문에 대표 교섭권을 잃는 게 아니다"라며 "새로 교섭권을 얻어야 하는 (3∼4개월) 기간 중 잠시 파업권을 잃을 뿐, 이후 다시 교섭에 나서겠다"고 설명했다.
전삼노 조합원 수는 전체 직원(약 12만5000명) 중 29%(약 3만6000명)에 달한다. 4노조인 전삼노는 5일부터 사무직노조를 흡수 통합해 순서상으로나 규모상으로나 1노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