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시, 교육부 지정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

2024-07-30 15:38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삼척시가 교육부 지정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되었다.

    삼척 지역을 품은 미래 청정인재 에듀피아 완성"이라는 비전으로 돌봄 접근성 강화, 공교육 책무성 강화, 미래 교육 역량 강화, 국제화 혁신 및 대학-산업체 연계 등 지역 교육혁신을 위한 5대 과제들을 중심으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해 삼척시는 지난 1월 19일 삼척고등학교 이전 방안 의견수렴을 위한 시민토론회를 시작으로, 삼척시 관내 교육기관, 대학, 지역 기업 및 공공기관과의 지역협력체 구성,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와의 업무협약에 이어 교육발전특구 시민토론회 등을 진행했다.

  • 글자크기 설정

교육환경 개선, 인재 양성, 인구 유입을 위한 다양한 사업 추진

삼척시청사 전경사진이동원 기자
삼척시청사 전경[사진=이동원 기자]


삼척시가 교육부 지정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되었다.
 
교육발전특구란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및 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하여 지역 발전의 큰 틀에서 지역 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이다.
 
삼척시는 "청정,수,소,드림,시,티 H-DREAM! 삼척 지역을 품은 미래 청정인재 에듀피아 완성"이라는 비전으로 돌봄 접근성 강화, 공교육 책무성 강화, 미래 교육 역량 강화, 국제화 혁신 및 대학-산업체 연계 등 지역 교육혁신을 위한 5대 과제들을 중심으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해 삼척시는 지난 1월 19일 삼척고등학교 이전 방안 의견수렴을 위한 시민토론회를 시작으로, 삼척시 관내 교육기관, 대학, 지역 기업 및 공공기관과의 지역협력체 구성,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와의 업무협약에 이어 교육발전특구 시민토론회 등을 진행했다.
 
특히, 지난 7월 15일 교육발전특구 2차 시범지역 지정 대면심사에는 박상수 삼척시장이 직접 참석하여 교육발전특구 2차 시범지역 지정을 위한 의지를 보였다.
 
삼척시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앞으로 3년간 매년 30억씩 국비 지원 등 행·재정적 지원을 받으며, 시범지역 운영 평가들을 거쳐 3년 후 교육발전특구로 정식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정부의 대학육성을 위한 글로컬사업 및 RISE 사업과 연계하여 강원대 삼척캠퍼스 전학생 장학금 지원 등 계획된 사업을 적극 추진하여 정책간 시너지 효과들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삼척시는 “교육발전특구 지역협력체와 함께 앞으로 5대 세부과제 추진을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청정 산업과 지역인재 교육의 선순환이 이루어지는 미래 교육 캠퍼스 도시 삼척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홍수 조절 기능 사진삼척시
홍수 조절 기능 [사진=삼척시]

 
이와 더불어, 삼척시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기후대응댐 후보지에 도계읍 산기리 일원이 포함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산기댐' 건설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도계읍 산기리 일원은 마교정수장의 취수원이 있는 곳으로,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개발이 제한되어 왔다. 이에 주민들은 직접 댐 건설을 요구하고 있으며, 삼척시도 '다목적 댐' 도입을 공식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주민들이 직접 요구하는 사업으로, 유사한 댐 건설 시 발생하는 수몰가구가 없어 댐 건설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타당성 조사 대상지에 포함됨으로써 사업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척시 관계자는 "환경부가 도계읍 산기리 일대를 기후대응댐 후보지에 포함시킨 결정을 환영하며 타당성 조사 시 다목적댐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 협의하고, 타당성 조사 진행 과정 및 주민설명회 개최 등 행정절차가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환경부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시는 도계읍 '산기댐'이 1,000,000㎡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건설될 경우 상수원보호구역 축소로 인한 지역편익 증대는 물론, 가뭄대비, 홍수조절, 산불 진화용수 확보 등 다양한 이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