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피벗' 앞에 선 192㎝의 이창용

2024-07-31 08:54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192㎝의 큰 키로 역대 한은 총재 중 최장신이라는 것은 물론 볼커처럼 인플레이션 문제 해결이 당면 과제라는 게 그렇다.

    이 총재는 사상 최초 7회 연속 금리 인상이라는 진기한 기록도 갖고 있다.

  • 글자크기 설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0711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07.11[사진=사진공동취재단]
역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들의 키와 정책금리가 서로 비례한다는 속설이 있다. 연준 의장의 키가 클수록 금리 수준이 높아지고 키가 작으면 그 반대라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폴 볼커다. 201㎝ 키로 역대 연준 의장 가운데 최장신이었던 그에게는 '인플레이션 파이터'라는 별칭이 붙었다. 1979년은 두 차례 석유 파동과 달러화 발행 증가로 인플레이션이 한창이었다. 당시 볼커는 취임 2개월 만에 연 11.5% 수준이던 기준금리를 15.5%로 인상하고, 취임 2년 차에는 20%까지 끌어올리는 초고금리 정책을 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볼커와 많은 점이 닮았다. 192㎝의 큰 키로 역대 한은 총재 중 최장신이라는 것은 물론 볼커처럼 인플레이션 문제 해결이 당면 과제라는 게 그렇다. 이 총재는 사상 최초 7회 연속 금리 인상이라는 진기한 기록도 갖고 있다. 그의 키가 방증하듯 지난해 2월부터 연 3.50% 고금리를 역대 최장 기간 유지 중이다.

글로벌 통화긴축기를 지나 올해 초부터 주요국들이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시동을 걸면서 국내에서도 금리 인하 목소리가 나온다. 여건은 상당 부분 갖춰졌다.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6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돼 내수 회복이 시급하다. 6월 물가도 이 총재가 금리 인하를 고려하는 전제 조건으로 언급한 하반기 2.3~2.4% 흐름에 근접한 상태다.

다만 시점이 문제다. 7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전문가 중 상당수는 이달 금리 인하 소수의견 등장, 8월 인하를 예상했다. 언론도 7월 금통위 결과 소수의견이 1명일지 2명일지 예측하기 바빴다. 이들의 설레발이 무색하게 금리 인하 소수의견은 단 한 명도 없었다. 가계부채 증가세와 고환율 등 금융 안정 우려 때문이다.

다시 한은의 시간이다. 내수 회복과 금융 안정 사이의 적절한 인하 시점을 찾아내야 한다. 완전한 통화정책이란 애초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볼커마저도 임기 중 한 차례 실수를 범해 잡힐 듯했던 인플레이션이 다시 오르는 일이 있었으니 말이다. 다만 볼커는 회고록에서 "중앙은행의 신뢰성은 한번 잃어버리면 되찾기 힘들다"고 했다. 이창용호가 임기 후반 금리 인하기를 순항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사진장선아 기자
[사진=장선아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