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한국상영발전협회는 "영화 시장은 그 어느 업계보다도 투명한 시장이다. 고객이 영화관에서 발권하는 순간 발권가액이 영진위 통합전산망으로 넘어가며 극장은 이 발권가액을 중심으로 투명하고 정확하게 정산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영화인연대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하며 "부금 정산 과정에서 깜깜이로 일관하며 불공정한 정산을 하고 있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한국상영발전협회에 따르면 극장은 표준 영화상영기본계약서에 따라 부금 정산 시 정산에 필요한 세부 내역을 배급사에 제공한다. 또 배급사에서 추가 내역 요청 시 통신사와 제휴사 등 타 계약 관계에 문제가 되지 않거나 영업에 지장이 초래되지 않는 선에서 협조할 수 있다.
그러면서 "극장과 배급사 간의 정당한 영업 활동이 위축돼 할인 혜택이 줄어든다면 그 불이익이 관객들에게 돌아가 관객 감소라는 부정적인 연쇄 영향을 미칠까 심히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영화인연대의 "가격은 올랐으나 객단가는 떨어졌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들은 "영진위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2019년 8444원이었던 객단가는 2023년 1만80원으로 높아졌다. 표면적으로 영화관람요금은 성인기준 평일 1만4000원, 주말 1만5000원이지만 극장사 각각 다양한 요금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많은 고객이 찾는 조조시간대는 평일 1만원, 주말 1만2000원 , 청소년 요금은 평일 1만1000원, 주말 1만2000원 수준"이라며 극장은 시간별, 연령별, 직군별, 요일별, 좌석별 등 다양한 가격대의 요금테이블을 운영중인만큼 단순 '성인 요금'만으로 영화관람 전체 요금을 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극장이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주장에는 "코로나19 기간 극심한 관객 감소로 1조원대가 넘는 손실을 기록했다. 희망퇴직, 무급휴직, 영업시간 단축 등 생존을 위해 필사의 노력을 했지만 어려움이 지속됐다. 영화관의 재무적인 어려움이 커지면서 외부에서 자본 조달 시 금리 또한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졌다. 영업이익이 발생하더라도 이자 비용을 충당하고 나면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기에는 요원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문제 해결 논의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는데 근거 없는 의혹만으로 불필요한 논쟁을 일으키는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한국영화산업 정상화를 위해 극장은 앞으로도 투자·제작·배급사와의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영화감독조합 등 15개로 이루어진 한국영화산업 위기 극복 영화인연대(이하 '영화인연대')는 CJ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의 '깜깜이 정산'을 하고 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신고했다.
영화인연대는 "극장 측이 영화배급사 및 제작사에 대하여 각종 할인과 무료 티켓 등의 프로모션에서 발생하는 상세 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등 불공정한 행위를 하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을 위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