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내달 1일부터 '단기권·청년할인'…11월 후불기능도 더해

2024-06-26 15:38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출시 직후부터 뜨거운 인기를 끌고 있는 서울시 기후동행카드가 내달부터 5종의 단기권이 출시되고 청년할인도 적용한다.

    오는 11월에는 체크·신용카드 결제 기능을 결합한 후불 기후동행카드도 출시가 계획돼 있다.

    후불 기후동행카드는 매월 결제일에 이용대금이 자동청구돼 30일마다 충전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 글자크기 설정

서울식물원 등 문화생활 혜택 늘려

자율주행·리버버스까지 이용 확대

하반기 서울-고양 이동시 사용 전망

오세훈 서울시장이 26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후동행카드 본사업 시행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6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후동행카드 본사업 시행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출시 직후부터 뜨거운 인기를 끌고 있는 서울시 기후동행카드가 내달부터 5종의 단기권이 출시되고 청년할인도 적용한다. 하반기부터는 후불 기능이 더해져 이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6일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을 마치고 시민들의 니즈를 반영한 할인 혜택과 서비스를 확대해 7월 1일부터 본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우선 30일 단일권종을 1~7일 단기권으로 세분화해 소비자 선택권을  높인다. 단기권은 1일권(5000원)·2일권(8000원)·3일권(1만원)·5일권(1만5000원)·7일권(2만원) 등 5종이다. 머무는 기간이나 개인 일정에 따라 구매해 사용할 수 있다. 기존 기후동행카드는 따릉이 사용 유무에 따라 6만2000원, 6만5000원 2종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었다.

'청년할인'도 적용된다. 기후동행카드 이용자의 61%를 차지하는 만 19∼39세 청년은 앞으로 5만5000원(따릉이 미포함)·5만8000원권을 충전해 사용할 수 있다. 단 공정한 사용을 위해 6개월마다 본인인증을 해야 하고 실물카드 이용자는 사전에 티머니 카드&페이 누리집에 등록한 카드의 경우에만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또 문화시설 할인 혜택도 확대된다. 이미 할인 적용이 되는 서울과학관 등에 더해 7월부터는 서울식물원 입장료 50%, 뮤지컬 페인터즈 관람료 20% 등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를 단순 교통정기권을 넘어 서울시민의 편의성을 높여줄 '복합카드'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오는 11월에는 체크·신용카드 결제 기능을 결합한 후불 기후동행카드도 출시가 계획돼 있다. 후불 기후동행카드는 매월 결제일에 이용대금이 자동청구돼 30일마다 충전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카드 한 장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하고 물건도 구매할 수 있어 기후동행카드 이용자의 편의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기후동행카드를 7월 유료로 변경되는 청와대 노선 자율주행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시는 향후 새벽 자율주행버스까지 사용을 확대할 예정이다. 오는 10월 운행이 예정돼 있는 한강 리버버스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월 3000원을 추가하면 리버버스도 무제한 탑승이 가능하고 버스·지하철 간 환승도 할 수 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지역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3월 김포골드라인을 시작으로 현재 고양시와 협약을 체결 후 후속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오세훈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지역을 늘려달라는 수도권 주민들의 끊임없는 요청에 따라 김포에 이어 올 하반기부터는 서울과 고양시를 오가는 시민들도 혜택을 받으실 수 있게 될 전망"이라며 "현재 군포, 과천 등 서울로 이동하는 인구가 많은 기초 지자체들과도 긴밀하게 논의하며 차근차근 진도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후동행카드는 지난 1월 시범 도입 70일 만에 누적판매 100만장을 기록했다. 이밖에 손목닥터9988, 서울야외도서관, 정원박람회 등 서울시 정책과 행사에 짧은 기간 100만명 이상이 참여하면서 오 시장에게 '정책 밀리언셀러'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