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자동차 3사 판매량, 전년비 31.6% 감소...전기차·신차 대응 부진

2024-06-23 10:52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KG모빌리티(KGM)와 한국GM, 르노코리아 등 국내 완성차 중견 3사의 내수 판매가 처음으로 한 자릿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점유율은 KGM이 4.1%, 한국GM 2.3%, 르노코리아 1.8%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올해 중견 3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완성차 5사 체제가 구축된 이래 처음으로 10% 아래로 떨어질 것이 유력하다.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KG모빌리티(KGM)와 한국GM, 르노코리아 등 국내 완성차 중견 3사의 내수 판매가 처음으로 한 자릿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차 출시 둔화와 함께 시장 대응에 부진했던 점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23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견 3사의 국내 등록 대수는 4만591대로, 현대차(제네시스 포함)·기아를 포함한 완성차 5사 전체 실적(49만5477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8.2%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량인 5만8857대 대비 31.6% 감소한 수치다.

이들 3사가 올해 한국에서 판매한 차량이 제네시스 단일 브랜드(5만7823대·11.6%)에도 미치지 못했다는 의미다.

업체별 판매량은 KGM이 2만340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한국GM(쉐보레·1만1508대), 르노코리아(8743대) 순으로 나타났다. 점유율은 KGM이 4.1%, 한국GM 2.3%, 르노코리아 1.8%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올해 중견 3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완성차 5사 체제가 구축된 이래 처음으로 10% 아래로 떨어질 것이 유력하다.

지난 2018년 22.0%에 달했던 중견 3사의 점유율은 2019년 20.3%, 2020년 18.7%, 2021년 13.9%, 2022년 13.5%, 2023년 10.2%로 매년 낮아지고 있다.

중견 3사 내수 판매 부진의 가장 큰 이유는 신차 부재로 꼽힌다. 현대차·기아와 수입차 브랜드가 전기차 등 다양한 신차를 출시하는 상황에서 기존 모델인 내연기관차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하반기에는 신차 소식이 있어 분위기 반전을 만들 수 있을 지 주목된다. KGM은 토레스 기반 쿠페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전기 픽업트럭 'O100'(프로젝트명)을, 르노코리아는 하이브리드 SUV '오로라1'(프로젝트명) 출시를 예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