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바이오 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과 협의체 구성

2024-06-18 16:3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과 함께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업무협약서 체결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협의체 위원장으로 선출된 서판길 한국뇌연구원 원장은 "이번 협의체 구성으로 바이오 분야의 13개 공공연구기관이 서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협의체 활동을 통해 공공연구기관이 맡은 소임을 다하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의체 참여 기관들은 이날 논의된 사항을 토대로 협력 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워킹그룹 구성 등 협력 분야를 7월 중으로 결정하고 첨단바이오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협력 프로젝트를 올 연말까지 도출하기 위해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글자크기 설정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4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유대길 기자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4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유대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과 함께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업무협약서 체결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의체에는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뇌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간사기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이상 가나다순) 등 13개 기관이 참여한다. 

정부 관계자는 "바이오분야 핵심 연구인력 약 2700여명을 보유하고 바이오 국가 R&D 약 6300억원을 담당하는 13개 기관들이 첨단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해 '원팀'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수요·필요에 따라 참여기관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바이오 분야 공공연구기관은 협의체 활동을 통해 국가 정책에 발맞춰 첨단바이오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협력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한다. 또 연구 시설과 장비 공동 활용, 핵심인재 육성, 바이오 데이터 공동 생산·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도출한다.

아울러 정부와 협력해 바이오 분야 미래 어젠다를 발굴하고 바이오 분야 국가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등 싱크탱크의 역할도 수행한다. 연구기관의 주요 연구내용과 연구성과 공유도 활발히 진행해 협력의 저변을 넓힐 계획이다. 이러한 협력 내용을 담아 이날 13개 연구기관은 상호 MOU를 체결했다.

협의체 위원장으로 선출된 서판길 한국뇌연구원 원장은 "이번 협의체 구성으로 바이오 분야의 13개 공공연구기관이 서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협의체 활동을 통해 공공연구기관이 맡은 소임을 다하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의체 참여 기관들은 이날 논의된 사항을 토대로 협력 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워킹그룹 구성 등 협력 분야를 7월 중으로 결정하고 첨단바이오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협력 프로젝트를 올 연말까지 도출하기 위해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