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유가 안정에 수출입물가 5개월 만에 꺾여

2024-06-14 08:33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지난달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안정되면서 올들어 상승세가 이어졌던 수출 물가와 수입 물가가 5개월 만에 꺾였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5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에 따르면 5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로 2020년 수준이 100)는 131.70으로 4월(132.55)보다 0.6%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상승했으나 지난달 하락세로 전환했다.

  • 글자크기 설정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안정되면서 올들어 상승세가 이어졌던 수출 물가와 수입 물가가 5개월 만에 꺾였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5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에 따르면 5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로 2020년 수준이 100)는 131.70으로 4월(132.55)보다 0.6%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상승했으나 지난달 하락세로 전환했다. 

농림수산품은 1.9% 상승한 반면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5.7%), 화학제품(-0.4%) 등을 중심으로 0.6% 하락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냉동 수산물이 3.6% 올랐지만, 경유는 7.5%, 휘발유는 11.0% 내렸다.

5월 수입물가지수도 전월보다 1.4% 낮은 141.58로 다섯 달 만에 하락했다.

원재료가 광산품(-4.0%)을 중심으로 3.7% 하락했고, 중간재도 석탄 및 석유제품(-2.4%), 화학제품(-0.6%) 등이 내리면서 0.3% 하락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0.2%, 0.3% 하락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4.5%), 원유(-5.9%), 천연가스(-2.9%), 나프타(-2.3%), 요소(-12.9%) 등의 하락률이 상대적으로 컸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65.39원으로 전월보다 0.2% 하락했다. 같은 기간 국제유가도 배럴당 평균 84.04달러(두바이유 기준)로 5.8% 떨어졌다.

수입 물가가 하락하면서 향후 생산자·소비자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수입 물가 하락은 시차를 두고 생산자·소비자 물가에 반영될 수 있다"면서 "시차가 어느 정도 될지, 생산자들이 가격 하락분을 어떻게 반영할지에 따라 영향은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