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올해 1분기 순익 2조5000억… 전년比 35%↓

2024-06-12 06: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1분기 증권사들이 벌어들인 순이익이 2조5141억원으로 집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익성이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지난해 1분기 일회성으로 반영된 배당 수익 1조7000억원을 제외한 순이익인 2조1506억원과 비교하면 오히려 3635억원(16.9%) 증가했다.

    증권사들의 자기자본이익률은 3.0%로 전년 동기 2.7% 대비 0.3%포인트 증가했고 직전 분기보다는 3.2%포인트 늘었다.

  • 글자크기 설정

일회성 배당 수익 1.7조 제외하면 당기 순익 성장세

금감원, 증권사 리스크 요인 면밀히 검토 방침

그래픽금융감독원
[그래픽=금융감독원]
1분기 증권사들이 벌어들인 순이익이 2조5141억원으로 집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익성이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증권회사 60개사가 지난 1분기 기록한 당기순이익은 2조5141억원으로 전년 동기 3조8693억원 대비 1조3552억원(35.0%)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1분기 일회성으로 반영된 배당 수익 1조7000억원을 제외한 순이익인 2조1506억원과 비교하면 오히려 3635억원(16.9%) 증가했다.
 
증권사들의 자기자본이익률은 3.0%로 전년 동기 2.7% 대비 0.3%포인트 증가했고 직전 분기보다는 3.2%포인트 늘었다.
 
주요 항목 별로 보면 수수료 수익은 3조2176억원으로 4410억원(15.9%)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수탁 수수료로 1조6211억원, 기업금융(IB) 부문 수수료 8649억원, 자산관리부문 수수료 3022억원을 벌어들였다.
 
이와 함께 자기매매 손익은 전년 동기 3조2271억원(3.9%)보다 1252억원 늘어난 3조3523억원으로 확인됐다. 금리인하 기대감 약화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채권 관련 손익이 2조4936억원 줄은 반면, 매도파생결합증권 평가이익이 증가하면서 파생관련손익이 2조9643억원 늘었다.
 
기타자산손익은 외환 관련 손실 확대 영향으로 1805억원(21.4%) 감소한 6631억원으로 집계됐고 판매관리비는 3조278억원으로 1518억원(5.3%) 증가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증권사들의 자산총액은 722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686조7000억원 대비 35조9000억원(5.2%)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같은 기간 매도증권(7조3000억원·29.1%)과 투자자 예수금(3조6000억원·4.6%), 발행어음(1조6000억원·4.5%) 늘면서 부채도 601조5000억원에서 636조5000억원으로 35조원(5.8%) 증가했다.
 
증권사의 자기자본은 86조1000억원으로 직전 분기(지난해 12월 말) 85조2000억원보다 9000억원(1.1%) 늘었다. 그러면서 평균 순자본비율은 730.9%로 734.7% 대비 3.8%포인트 감소, 모든 증권사들이 규제비율(100% 이상)을 상회했다.
 
평균 레버리지비율은 650.8%로 646.1% 대비 4.7%포인트 증가했다. 레버리지 비율 역시 규제 상한인 1100% 이내를 충족했다.
 
한편, 선물회사 3사의 당기순이익은 225억2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252억7000만원 대비 27억5000만원(10.9%) 줄고 전 분기 262억5000만원과 비교하면 37억3000만원(14.2%) 감소했다.
 
올해 1분기 자기자본이익률(ROE) 역시 3.4%로 일년 전에 비해 1.1%포인트 감소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자산총액은 5조3261억원으로 2570억원(4.6%) 가량 축소됐고 부채는 같은 기간 4조9460억원에서 4조6643억원으로 2817억원(5.7%) 줄었다.
 
다만 자기자본은 6618억원으로 247억원(3.9%) 늘었고 평균 순자본비율은 1391.0%로 54.1%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고금리·고물가 장기화 및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 본격화 등 대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한 증권사 수익성 둔화 가능성을 고려해 리스크 요인 등을 지속적으로 들여다 보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동산PF 부실 사업장 구조조정 등에 따른 증권회사 등의 수익성 및 건전성 악화 가능성 등 잠재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고위험 익스포져에 대한 충분한 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 및 신속한 부실자산 정리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