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가까이 이어진 장기 인플레이션 터널을 지나며 서민 가계와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삶이 극도로 피폐해지고 있다. 택시비·세탁비 등 민생과 직결된 항목 대부분은 가격 상승률이 두 자릿수 이상 치솟았다.
같은 기간 전국 슈퍼마켓과 노래방, 호프집 등도 각각 1000개 넘게 증발하며 동네 분위기를 침울하게 만들었다. 경기 회복세가 완연하다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 당국 주장이 먼 나라 얘기로 들리는 이유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세청 국세통계포털 등 지표를 세부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소비자물가는 2년 전인 2022년 1분기 말과 비교해 7.74% 상승했다. 2022년 1분기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을 본격화하던 시기다.
밥상 물가로 불리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12.04% 급등한 가운데 소비자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물가)도 7.42% 올라 민생고를 키웠다.
특히 생활 밀착형 서비스물가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목욕료가 22.33% 뛰었고 세탁료(19.53%), 택시비(20.90%), 간병도우미(19.01%), 대리운전(16.00%), 세차료(14.73%) 등도 두 자릿수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 성북구에 거주하는 40대 회사원 A씨는 "양복과 와이셔츠 등을 맡기던 동네 세탁 프랜차이즈 업체 이용을 끊은 지 한참 됐다"며 "야근이나 회식으로 귀가가 늦어져도 웬만하면 택시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고 토로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타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고물가에 3%대 고금리까지 엄습하면서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줄폐업이 발생하고 있다.
서민들이 무시로 찾는 동네 슈퍼마켓은 지난 3월 기준 총 2만7247개로 2년 전보다 4.5%(1226개) 감소했다. 대폿집·선술집 등 간이주점이 10.5% 줄었고 호프집(-8.9%), 노래방(-5.2%), 이발소(-2.6%), 식료품 가게(-2.3%) 등도 대거 자취를 감췄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 실질소득은 450만8121원으로 2022년 1분기 대비 6만7108원 줄었다. 물가 상승률이 명목소득 증가율을 웃돌면서 가계 소득이 사실상 줄었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거시 지표 개선에 안도하기보다 서민 체감 경기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책 수립·집행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등이 동시에 상승하며 서민형 물가 전반을 끌어올리는 형국"이라며 "서비스물가는 나라 밖에서 저렴하게 수입할 수도 없어 서민들이 체감하는 정도가 더 심각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도 "임금은 물가 상승률만큼 오르지 않는데 생활비는 계속 뛰니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가 함께 찾아온 상황이라 경제고통지수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같은 기간 전국 슈퍼마켓과 노래방, 호프집 등도 각각 1000개 넘게 증발하며 동네 분위기를 침울하게 만들었다. 경기 회복세가 완연하다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 당국 주장이 먼 나라 얘기로 들리는 이유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세청 국세통계포털 등 지표를 세부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소비자물가는 2년 전인 2022년 1분기 말과 비교해 7.74% 상승했다. 2022년 1분기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을 본격화하던 시기다.
밥상 물가로 불리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12.04% 급등한 가운데 소비자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물가)도 7.42% 올라 민생고를 키웠다.
서울 성북구에 거주하는 40대 회사원 A씨는 "양복과 와이셔츠 등을 맡기던 동네 세탁 프랜차이즈 업체 이용을 끊은 지 한참 됐다"며 "야근이나 회식으로 귀가가 늦어져도 웬만하면 택시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고 토로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타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고물가에 3%대 고금리까지 엄습하면서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줄폐업이 발생하고 있다.
서민들이 무시로 찾는 동네 슈퍼마켓은 지난 3월 기준 총 2만7247개로 2년 전보다 4.5%(1226개) 감소했다. 대폿집·선술집 등 간이주점이 10.5% 줄었고 호프집(-8.9%), 노래방(-5.2%), 이발소(-2.6%), 식료품 가게(-2.3%) 등도 대거 자취를 감췄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 실질소득은 450만8121원으로 2022년 1분기 대비 6만7108원 줄었다. 물가 상승률이 명목소득 증가율을 웃돌면서 가계 소득이 사실상 줄었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거시 지표 개선에 안도하기보다 서민 체감 경기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책 수립·집행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등이 동시에 상승하며 서민형 물가 전반을 끌어올리는 형국"이라며 "서비스물가는 나라 밖에서 저렴하게 수입할 수도 없어 서민들이 체감하는 정도가 더 심각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도 "임금은 물가 상승률만큼 오르지 않는데 생활비는 계속 뛰니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가 함께 찾아온 상황이라 경제고통지수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