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학교가 위탁 운영중인 경북보조기기센터, 장애인·노인 자립생활 지원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 선정

2024-06-10 15:51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는 이번 선정으로 앞으로 4년간 약 12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계명대 사용성평가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적정기술기반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지역현장적용형 문제해결 R&SD' 사업을 수행한다.

    송병섭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장(대구대 재활과학대학 학장)은 "늘어나고 있는 보조기기 수요에 대응하고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보조기기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면서 "다양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개발을 통해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9년 보건복지부와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는 대구대 점자도서관 건물에 문을 열고 지역 장애인과 노인을 위해 전문적인 보조기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보건복지부 주관 '2023년도 지역보조기기센터 특성화 사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 글자크기 설정

계명대 사용성평가연구센터와 공동 사업 수행 --- 총 12억원 지원받아 적정기술기반 보조기기 연구개발

대구대학교 경산 캠퍼스 전경사진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경산 캠퍼스 전경[사진=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총장 박순진)는 위탁운영 중인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센터장 송병섭)가 최근 장애인과 노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혓다 .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는 이번 선정으로 앞으로 4년간 약 12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계명대 사용성평가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적정기술기반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지역현장적용형 문제해결 R&SD’ 사업을 수행한다.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은 장애인과 노인의 자립 및 일상생활에 필요하지만 수요가 적고 산업화가 어려운 생활밀착형 보조기기를 연구개발하고 실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 센터는 계명대 사용성평가연구센터, 대구광역시보조기기센터, 대구대 의료재활학과, 지역 복지관 등 유관 기관과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역사회 내 대상자의 보조기기 수요를 발굴하고, 개발된 보조기기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개발 보조기기는 대상자의 장애 유형, 특성, 환경 등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제작되며, 사용성 평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해 사용자 중심으로 보조기기를 실용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송병섭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장(대구대 재활과학대학 학장)은 “늘어나고 있는 보조기기 수요에 대응하고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보조기기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면서 “다양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개발을 통해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9년 보건복지부와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는 대구대 점자도서관 건물에 문을 열고 지역 장애인과 노인을 위해 전문적인 보조기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보건복지부 주관 ‘2023년도 지역보조기기센터 특성화 사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에 관심이 있거나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대구광역시보조기기센터 또는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로 연락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