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생산 차질 없었지만…민노총식 무력시위 삼성전자로 확대되나

2024-06-09 20:22
  • 글자크기 설정

지난 7일 연가 투쟁...전보다 휴가자 적어

다음 쟁의행위 미정, 사측과 교섭 후 행보 결정할 듯

일각선 민주노총 가입 후 쟁의 강도 높일 가능성 제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지난달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을 선언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지난달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을 선언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삼성전자 최대 노동조합인 전국삼성전자노조(전삼노)가 지난 7일 단체로 연차를 내는 연가 투쟁에 나섰지만 반도체 생산에 차질은 없었다. 다만 산업계에선 전삼노가 상급단체를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 옮기면서 쟁의행위 강도를 높일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전삼노는 지난 7일 소속 조합원에게 현충일과 주말로 이어지는 징검다리 연휴를 맞아 연차를 독려하는 연가 투쟁을 공지했다.

하지만 연가 투쟁에 참여한 직원들은 다른 징검다리 연휴 때보다 적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반도체 공정을 포함해 삼성전자 생산과 경영활동에 차질은 없었다. 이현국 전삼노 부위원장은 "사상 첫 연가 투쟁이 조합원 자의에 의해 결정됐으면 하는 취지로 참여 인원은 공개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전삼노 조합원은 2만8000여명으로 알려졌다. 대부분 DS(디바이스솔루션·반도체) 부문 직원들로, 삼성전자 전체 직원 12만5000여명의 약 22% 규모다. 삼성전자 사측은 연차를 신청한 직원 비율이 예측가능한 범위였던 만큼 미리 생산일정과 인력배치를 조정해 노조 연가 투쟁에 대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징검다리 연휴이고 반도체 팹(생산공장)의 자동화 생산 의존도가 높은 점을 이유로 "이번 파업 선언은 삼성전자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출하량 부족 현상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삼노의 다음 쟁의행위 일정은 미정이다. 우선 이번 주 사측과 합의 지점을 찾은 후 연가 투쟁을 포함한 추가 쟁의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위원장은 "연가 투쟁 후 다른 방식의 파업도 계획 중"이라며 "연가 투쟁은 우리의 최종 목표인 총파업으로 가기 위한 첫 번째 절차"라고 말했다.

전삼노가 기존 상급단체인 한국노총 대신 민주노총과 연계를 강화하면서 투쟁 강도를 높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민주노총은 지난 5일 "전삼노와 조합원의 정당하고 당당한 투쟁을 지지한다"며 "민주노총은 이 땅의 노동자로서 전삼노와 그 조합원들을 함께 투쟁하는 '동지'로 인식한다"고 지지 설명을 냈다. 전삼노는 지난달 24일 삼성 서초사옥에서 집회를 진행하면서 관할인 서울 서초경찰서에 민주노총 금속노조 조합원 200명을 '질서유지인'으로 신고하기도 했다.

민주노총이 전삼노 포섭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MZ세대 외면으로 사측에 대한 노조 목소리가 약해지는 상황에서 한국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 노조를 산하 지회로 확보해서 세를 확대하려는 데 있다. 전삼노 역시 과반 노조가 되지 못해 임단협 교섭능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대규모 상급단체의 지원을 받아 사측에 세를 과시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산업계에선 주로 민주노총 산하 지회에서 볼 수 있었던 무력시위를 동반한 강도 높은 사측 압박이 삼성전자로 확대될 것을 우려한다. 일례로 현대차·기아 노조는 최근 임단협을 진행하며 무력시위를 벌여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4일 울산공장 코일센터 출입문에 설치된 출퇴근 기록기와 창문 일부를 훼손했다. 기아 노조는 지난 3일 경기 광명시 오토랜드 광명 본관에서 준대형 SUV 'EV9'의 미국 생산 중단을 요구하며 기물을 파손하고 벽에 현대차·기아 주요 임원 관련 험담을 스프레이로 크게 적기도 했다.

전삼노의 친 민주노총 행보에 삼성전자 사내 '노노갈등'도 현실화하고 있다. 삼성전자 두 번째 노동조합인 삼성그룹초기업노조(이하 삼성그룹노조)는 지난달 28일 성명을 내고 "(전삼노가) 민주노총 조직화 세력과 결탁 의혹이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삼성그룹노조는 삼성전자 직원 5800여명이 가입한 삼성전자DX노조를 포함해 삼성화재,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전기 등 5개 회사 노조가 뭉쳐 결성한 초기업노조다. 

삼성그룹노조는 "전삼노가 소속된 상급 단체(한국노총) 대신 외부 단체에 회사 인사비밀, 교섭 정보, 홈페이지 관리 등을 맡기는 것은 비상식적"이라며 "전삼노의 지속적인 타노조 비방과 상급단체를 통한 조직화 및 위력 강화에 집중하는 행보는 대다수 삼성 직원의 상식과 의사에 반한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그룹노조 DX노조 지부장 A 씨는 지난 3일 삼성전자 사내 게시판에 글을 올려 △민주노총 금속노조 간부의 전삼노 조합원 활동 △전삼노 집행부의 다중계정 사용 △조합원 숫자 부풀리기를 통한 근로시간 면제자 조작 등의 의혹을 제기하면서 녹취록 등을 함께 공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개의 댓글
0 / 300
  • @ 전ㅅㄴ전라도뱃떼지칼빵시발그냥다칼빵누구든건들면칼빵뒤돌아보면너두니뒷통수꼬치지칼빵고인이되고나면그땐알수잇겟지지금은그머리통속이텅비엉어도핟지만그때는하늘을바라보며행복한미소를짓게되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