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스마트도시 수원' 조성...7개 기업·대학과 맞손

2024-06-04 14:24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경기 수원시(시장 이재준)가 기업, 대학과 협력해 '스마트도시 수원'을 조성한다.

    또 시가 국가공모사업에 참여하면 계획을 함께 구상하고, 사업을 추진할 때 필요한 공간·인력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재준 시장은 "시와 기업, 대학이 스마트도시 구현에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며 "스마트도시 관련 시설뿐 아니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시민 삶의 질 향상에 부합하는 스마트서비스 제안 등에 적극 협력키로

이재준 시장오른쪽 5번째이 협약 기관 관계자들과 함께하고 있다사진수원시
이재준 시장(오른쪽 5번째)이 협약 기관 관계자들과 함께하고 있다[사진=수원시]

경기 수원시(시장 이재준)가 기업, 대학과 협력해 ‘스마트도시 수원’을 조성한다.
 
시는 4일 시청 상황실에서 ㈜디케이테크인, 라구나인베스트먼트, 에스케이텔레콤㈜, ㈜케이티, ㈜제일엔지니어링, 성균관대학교, 아주대학교 등 7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포괄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협약 기관들은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구축하는데 협력한다. 또 시가 국가 공모사업에 참여하면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주요 협력 사항은 △시민 삶의 질 향상에 부합하는 스마트서비스 제안 △신규 스마트서비스 구축 시 요구되는 비용 절감 지원 △기존 스마트서비스 유지관리 시 필요한 비용절감 지원 △스마트도시 수원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 개선사항 제안 등이다.
 
또 시가 국가공모사업에 참여하면 계획을 함께 구상하고, 사업을 추진할 때 필요한 공간·인력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재준 시장은 “시와 기업, 대학이 스마트도시 구현에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며 “스마트도시 관련 시설뿐 아니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3개의 댓글
0 / 300
  • 고,국사교육은 이전 관례대로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해방후 성균관대가 정통승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왔음.@서강대 총장도 성균관대 총장다음의 Royal대 총장의 예우가 필요한 국제관습법 자격이 있습니다. 성균관대 총장이나, 서강대 총장이 참여하는, 국가 공공기관 행사에서, 상당히 유념해야 할, 의전 대상 Royal대학들이, 두 Royal대학들입니다. https://blog.naver.com/macmaca/223424093319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 정통성, 국사 성균관 자격 성균관대의 헌법.국제법자격, 국사 자격은 바뀌지 않습니다.

    ​조선.대한제국의 법과 제도가 와해된 상태에서 맞이한 해방 한국의 헌법과 국제법의 조화가 필요합니다.

    600년 역사의 성균관(성균관대). 해방후 미군정당시 공자묘 경학원을 성균관으로 개칭하는 성균관 복구령에 따라, 전국 유림대회(고문:이승만,김구, 위원장:김창숙)에서 성균관대 설치(복구설립)를 결의하였음. 미군정당시 성균관장으로 선출된 김창숙 성균관장은, 전국 유림대회 결의에 따라 성균관대를 미군정에 대학기구로 등록(성균관은 제사기구로 분리)하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 소정의 성과 기대합니다. 필자는 학구적인 서강대에 관심많은 국사 성균관 자격 성균관대 출신입니다. 성균관의 으뜸 벼슬은 대제학. 해방후 성균관대 총장은 장관급입니다. 민주공화국이지만,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의 헌법前文과, 을사조약.한일병합을 무효로 하고, 대일선전포고한 임시정부의 정통성이, 현행헌법에 보장되어, 성균관[성균관대. 성균관대는 한국의 최고(最古,最高)대학임], 고종황제 후손 황사손(이원. 한국의 최고 제사장)은 헌법차원으로 그 지위를 보장받아야 할것입니다. 불법강점기로부터의 한국의 해방과 임시정부의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