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블루오션 아프리카] 선박‧석유 수출 활로서 '자원 외교' 요충지로

2024-06-03 00:00
  • 글자크기 설정

아프리카 1인당 GDP 20여년간 연평균 6.4% 성장

14억 인구와 천연자원 바탕으로 성장세 가속화

철광‧금‧석탄 등 수입 의존↑… 수입선 다변화 핵심지

사진무협
[사진=무협]
미·중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여파로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이 무역업계에서 새로운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는 풍부한 자원과 인력을 바탕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기회의 땅'으로 평가받으면서 많은 국가들이 진출하며 활발한 교역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도 아프리카에서 수십 년째 무역수지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탈(脫)중국'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갈등 등 지정학적 위기까지 더해지면서 아프리카가 '자원 외교'를 위한 요충지로 떠오르고 있다.

3일 세계은행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명목국내총생산(GDP)은 2000년 7350억 달러에 불과했지만 이후 연평균 6.4% 성장해 2022년 2조9043억 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아프리카 대륙의 1인당 GDP도 912달러에서 2258달러로 확대됐다.

아프리카 경제는 2000년 이후 세계 평균을 상회하는 성장률을 기록해 왔으며 지난해 이후 성장세가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프리카는 유일하게 생산가능인구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아프리카 총인구는 14억명으로 추산되며 2050년에는 25억명에 달할 전망이다.

아프리카는 광물, 화석연료, 재배작물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기반으로 경제를 형성하며 중국, 인도, 미국, 프랑스 등과 활발히 교역하고 있다. 주로 천연자원을 수출하고 석유제품, 곡류, 수송기기 등을 수입한다.

우리나라의 대(對)아프리카 주요 수출품도 선박해양구조물과 부품, 석유제품 등이다. 수입품은 화석연료와 기호식품이 주를 이룬다. 실제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아프리카 수출 중 선박해양구조물과 부품 품목 수출액이 40억2500만 달러로 44.2% 비중을 차지하며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석유(16억4200만 달러), 합성수지(5억 달러), 자동차(4억6100만 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최근에는 HD현대건설기계도 수단에서 34톤(t) 대형 굴착기 6대와 22톤 중형 굴착기 36대 등 건설장비 60대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시장 다각화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수단 내전으로 건설기계 무역이 중단됐다가 지난해 재개된 이후 글로벌 건설기계 브랜드 중 수단 시장에 재진입한 것은 HD현대건설기계가 처음이다.

정유업계도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비산유국으로서 한계를 넘어서 '탈중국'을 위해 수출 영토 확장에 나선 추세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정유업계는 세계 70개국에 석유제품 총 4억6672만배럴을 수출했다. 수출액은 전년 대비 소폭 줄었지만 수출국 수는 2021년 58개국에서 꾸준히 증가했다. 이 중에는 앙골라, 케냐 등 아프리카도 포함돼 있다.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목 중 하나인 이차전지도 아프리카에서 활약이 기대되고 있다. 아프리카는 이차전지에 활용되는 광물 생산 비중이 20~60%에 달하는 등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이 풍부하다. 우리 기업은 독자적 기술을 개발하고 해외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한국·아프리카 양측 모두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차전지 제조 등 전방산업 공급처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또 아프리카가는 원자재 수입처 다변화를 위한 중요한 요충지로도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기준 아프리카에서 철광 수입 전체(100%), 금·은·백금 수입 중 99.8%를 의존하고 있으며 석탄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69.9%를 수입하고 있다. 한국이 아프리카에서 수입하는 규모는 2010년대 초반 50억 달러 수준에서 2021년 이후 70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프리카가 세계 경제의 '마지막 엔진'으로 평가받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4~5일 사상 첫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하면서 협력 강화에 나설 전망이다. 아프리카 54개국(유엔 가입 기준) 중 30개국 이상 정상이나 정상급 인사가 이번 회의 참석에 관심을 표명했을 만큼 아프리카도 한국을 주목하고 있다.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