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 '용봉사 범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2024-05-31 12:33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충남 홍성군은 250여 년 전 제작되어 경남 창원까지 옮겨갔던 '홍성 용봉사 범종'이 고향으로 돌아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용봉사 주지 정준스님과 수덕사 정범스님이 직접 길상사를 방문해 범종을 옮겨왔다.

    용봉사 범종을 제작한 이만돌은 18세기 충청지역에서 활약한 장인으로, 이번에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용봉사 범종 외에도 충남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영랑사 범종', '영탑사 범종'을 비롯해 총 7점의 범종을 제작했다고 전해진다.

  • 글자크기 설정

- 1772년 장인 이만돌이 제작…2021년 창원 길상사에서 발견

용봉사 범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사진홍성군
용봉사 범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사진=홍성군]

충남 홍성군은 250여 년 전 제작되어 경남 창원까지 옮겨갔던 ‘홍성 용봉사 범종’이 고향으로 돌아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고 31일 밝혔다.
 
군에 따르면 용봉사 범종은 높이 58.2cm, 너비 47.5cm 크기로, 하단부에 ‘건륭 37년(1772년)’,‘편수 이만돌’등의 명문이 새겨져 있어 제작 시기와 봉안 사찰, 제작자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범종은 지난 2021년 경남 창원시 길상사에서 우연히 발견되어 당시 길상사 주지였던 무자스님이 창고 정리를 하다 범종 하단의 ‘홍주 용봉사’라는 명문을 발견하고 수덕사를 통해 용봉사에 알렸다. 이에 용봉사 주지 정준스님과 수덕사 정범스님이 직접 길상사를 방문해 범종을 옮겨왔다.
 
용봉사 범종을 제작한 이만돌은 18세기 충청지역에서 활약한 장인으로, 이번에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용봉사 범종 외에도 충남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영랑사 범종’, ‘영탑사 범종’을 비롯해 총 7점의 범종을 제작했다고 전해진다.
 
용봉사 범종은 앞서 제작한 범종의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정교하고 안정감 있는 문양 배치로 이만돌의 역작으로 평가받는다.
 
김태기 문화관광과장은 “반출됐던 범종이 250년 만에 다시 용봉사로 돌아온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앞으로도 소중한 지역 문화유산 발굴과 보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용봉사 범종은 현재 연구와 조사를 위해 수덕사근역성보관 수장고에 보관 중이며, 추후 용봉사 경내로 옮겨올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