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증시, IMF 성장률 상향에 상승...BYD 8%↑

2024-05-29 16:5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29일 중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와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하면서 투자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1.45포인트(0.05%) 상승한 3111.02, 선전성분지수는 23.93포인트(0.25%) 오른 9414.98에 장을 마쳤다.

  • 글자크기 설정

올해 4.6→5%·내년 4.1→4.5%로 올려

BYD, 新하이브리드 기술 발표로 자동차주 '들썩'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29일 중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와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하면서 투자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1.45포인트(0.05%) 상승한 3111.02, 선전성분지수는 23.93포인트(0.25%) 오른 9414.98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23.93포인트(0.12%), 4.81포인트(0.27%) 뛴 3613.52, 1811.07로 마감했다.
IMF는 이날 '중국 경제 연례 협의' 대표단 방중을 마치며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달 '세계경제전망(WEO)' 보고서에서 발표한 전망치 4.6%에서 5%로 올려잡았다. 내년 성장률도 4.1%에서 4.5%로 상향했다. 중국 당국이 설정한 올해 성장률 목표 '5% 안팎’에 가까워진 것이다.

IMF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의 강한 성장(5.3%)과 최근 채택된 관련 정책 때문”이라고 상향 이유를 설명했다.

다만 IMF는 중기적으로는 고령화와 생산성 상승 둔화, 부동산 침체 및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인해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2029년까지 3.3%까지 내려올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조사업체 초이스에 따르면 이날 거래 가능한 주식 가운데 상승한 종목은 2669개, 하락한 종목은 2161로 격차가 크지 않았다. 262개는 보합을 기록했다. 자동차·비철금속이 상승을 주도했고, 은행·가전 PC 등 업종은 약세를 보였다.

BYD가 전날 차세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기술과 이를 탑재한 모델을 출시하면서 자동차주가 들썩였다. BYD는 8% 이상 급등했고, 퉁다뎬치(通達電氣), 푸다구펀(福達股份) 등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근 발표된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주요국들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제조업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비철금속 업종도 강세를 보였다. 태양광패널 관련주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종목별로는 톈허광넝(天合光能), 징아오커지(晶澳科技), 둥팡르성(東方日升)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항셍지수가 장중 2% 이상 급락하는 등 홍콩 증시는 크게 흔들렸다. 알리바바·징둥·메이퇀 등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했으며 BYD는 홍콩 증시에서도 장중 7% 가까이 뛰며 자동차주 상승을 이끌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