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의 한·일·중 정상회의 반발, 공동선언 의미 있다는 것"

2024-05-28 16:33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북한 외무성이 한·일·중 외교장관 공동선언을 비난한 것과 관련해 정부는 28일 북한의 반발은 이번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이 의미가 있었다는 것을 잘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전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배포한 담화에서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비핵화 문제가 거론된 것에 대해 "한국이 '비핵화', '평화와 안정'에 대해 운운하는 것 자체가 지역 나라와 국제 사회에 대한 우롱"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한국이 주도하는 국제회의 마당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헌법적 지위를 부정하는 엄중한 정치적 도발이 감행된 것과 관련해 이를 우리 국가의 자주권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난폭한 내정간섭으로 낙인하며 강력히 규탄 배격한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北의 완전한 핵 포기·비핵화는 국제사회 총의·일치된 목표"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북한 외무성이 한·일·중 외교장관 공동선언을 비난한 것과 관련해 정부는 28일 북한의 반발은 이번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이 의미가 있었다는 것을 잘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그간 다수의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로 확인됐듯이 북한의 완전한 핵 포기와 비핵화는 국제사회의 총의이자 일치된 목표"라고 밝혔다. 

특히 임 대변인은 "이번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 당일 북한이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거세게 반발한 것은 바로 이번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이 의미가 있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은 결코 핵 보유를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며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스스로의 안보와 경제 발전을 저해할 뿐이라는 것을 자각하고 하루빨리 비핵화의 길로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전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배포한 담화에서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비핵화 문제가 거론된 것에 대해 "한국이 '비핵화', '평화와 안정'에 대해 운운하는 것 자체가 지역 나라와 국제 사회에 대한 우롱"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한국이 주도하는 국제회의 마당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헌법적 지위를 부정하는 엄중한 정치적 도발이 감행된 것과 관련해 이를 우리 국가의 자주권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난폭한 내정간섭으로 낙인하며 강력히 규탄 배격한다"고 밝혔다.

이날 담화는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이 발표된 지 두 시간여 지난 후 나왔다. 북한이 공동선언문 내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