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글로벌헬스케어포럼] 'AI 전성시대'···바이오 패러다임 변화 주도

2024-05-27 16:3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날 포럼은 '바이오산업의 패러다임: AI 혁신과 미래'를 주제로 AI 기술이 신약 개발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가져올 변화와 혁신을 짚어보고,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임규진 아주경제신문 사장은 개회사에서 "AI는 신약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환자 상태를 조기 진단하고 최적의 치료 방법을 찾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의료시스템 효율을 높여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 글자크기 설정
27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4 제14회 글로벌헬스케어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현석 딥노이드 이사 신준수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장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임규진 아주경제신문 사장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김화종 한국제약바이오협회 K-MELLODDY 사업단장 손미정 식약처 의료기기안전국 디지털의료제품TF 팀장 사진유대길 기자
27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2024 제14회 글로벌헬스케어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현석 딥노이드 최고의료책임자(CMO), 신준수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장,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임규진 아주경제신문 사장,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김화종 한국제약바이오협회 K-멜로디(MELLODDY) 사업단장, 손미정 식약처 의료기기안전국 디지털의료제품태스크포스(TF)팀장.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인공지능(AI)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혁신'이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를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이에 맞는 기술 발전과 제도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주경제신문은 2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제14회 글로벌 헬스케어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바이오산업의 패러다임: AI 혁신과 미래'를 주제로 AI 기술이 신약 개발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가져올 변화와 혁신을 짚어보고,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임규진 아주경제신문 사장은 개회사에서 "AI는 신약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환자 상태를 조기 진단하고 최적의 치료 방법을 찾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의료시스템 효율을 높여 환자에게 더 나은 치료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번 포럼을 통해 AI 기반 바이오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이날 포럼에는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강선우 민주당 의원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신준수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장이 현장 참석과 영상을 통해 행사를 축하했다.
 
임규진 아주경제신문 사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4 제14회 글로벌헬스케어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임규진 아주경제신문 사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4 제14회 글로벌헬스케어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어진 강연에서는 △김화종 한국제약바이오협회 K-멜로디(MELLODDY) 사업단장 △최현석 딥노이드 최고의료책임자(CMO·이사) △손미정 식약처 의료기기안전국 디지털의료제품태스크포스(TF) 팀장이 바이오산업에서 화두로 꼽히는 AI 혁신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김 단장은 "바이오 AI 기술 성능을 높이려면 제약사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면서 신약 개발 분야에서 공유된 데이터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여러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한곳에 모으지 않으면서 AI 성능을 개선하는 '연합학습' 방법을 소개했다.

두 번째 연사로 나선 최 이사는 AI를 활용한 '진단'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증도 높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AI 소프트웨어를 통해 환자의 독립적인 삶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AI 기반 진단과 치료가 활발해지면서 의사에 대한 환자의 의존도가 낮아질 것이란 뜻으로 풀이된다.

마지막으로 손 팀장은 "AI 기술이 새로운 의료기기 개발에 미치는 파급력이 매우 크다"고 평가하면서 "다만 디지털 의료기기 특성에 적합한 안전을 담보하는 데 한계가 있어 이에 맞는 규제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손 팀장은 이날 포럼에서 지난 1월 제정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세부 내용을 최초로 공개해 큰 주목을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개의 댓글
0 / 300
  • ㅣㄴ 라도뱃떼지칼빵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ㆍㄱ전라도뱃떼지칼빵시발그냥다칼빵누구든건들면칼빵뒤돌아보면너두니뒷통수꼿이지칼빵고인이되고남ᆢㄱㄴ면그땐알수잇걳지지금은금ㄴ머그머리통속이텅비엇어도하지만그때는하늘을바라보며행복한미소를짓게되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