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V80 실적 호조에...국내 고급차시장서 제네시스만 홀로 질주

2024-05-26 09:41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올해 들어 국내 고급차 시장에서 제네시스만 지난해와 비교해 판매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제품 라인업이 확장하면서 선택지가 넓어졌고, GV80·G80 등이 준대형급 프리미엄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웠다"며 "가성비를 앞세운 브랜드를 제외하면 수입차와 비교해 옵션 등의 상품성과 가격 측면의 이점도 있다.

    수입차 브랜드 수요가 당분간 계속 제네시스 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제네시스 1∼4월 내수 판매량 4만5554대

경쟁 수입차 브랜드 벤츠·BMW·렉서스는 감소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올해 들어 국내 고급차 시장에서 제네시스만 지난해와 비교해 판매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네시스 브랜드 첫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GV80 실적 호조에 따른 영향으로 읽힌다. 반면 경쟁 수입 차종인 BMW X5와 벤츠 GLE 모델은 올해 내수에서 각각 2000대 안팎으로 팔리는 등 판매 실적에서 GV80과 1만대 이상 차이가 났다.

26일 현대차 IR에 따르면 올해 1∼4월 제네시스 국내 판매 대수는 4만5554대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량 4만2973대와 비교해 6.0% 늘어난 수치다.

제네시스와 달리 수입 고급차 브랜드 판매 실적은 뒷걸음질 쳤다. 산업통상자원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BMW 국내 판매량은 2만2718대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2% 감소했다. 메르세데스-벤츠 판매량 역시 1만7403대로, 17.6% 줄었다. 

수입차 양대 산맥인 두 브랜드 판매량을 합산해도 제네시스에 비해 5433대 적다. 벤츠·BMW와 함께 '독일 완성차 브랜드 3사'로 묶이는 아우디(1870대)는 74.7%, 일본 렉서스(4055대)는 6.2% 각각 줄었다.

올해 들어 제네시스의 뚜렷한 성장은 GV80 판매 호조세 덕분이다. 특히 지난해 10월 GV80 부분 변경 모델이 출시되고 나서 제네시스 판매량이 크게 뛰었다. 지난 2020년 1월 GV80 출시 이후 3년 9개월 만의 부분 변경이다.

실제 올해 1∼4월 국내 시장에서 GV80 판매 대수는 1만7636대로, 전년 동기(9256대) 대비 90.5% 급증했다.

작년 처음 출시된 GV80 쿠페도 국내에서만 1000대 넘게 팔렸다. 옵션 사양을 추가하면 차량 가격이 1억원을 넘지만, 마니아층 수요가 실구매로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제품 라인업이 확장하면서 선택지가 넓어졌고, GV80·G80 등이 준대형급 프리미엄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웠다"며 "가성비를 앞세운 브랜드를 제외하면 수입차와 비교해 옵션 등의 상품성과 가격 측면의 이점도 있다. 수입차 브랜드 수요가 당분간 계속 제네시스 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밝혔다.

제네시스의 성공 비결은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디자인'이라는 평이다. 제네시스는 ‘레드 닷 어워드’·‘IF 디자인 어워드’·‘굿 디자인 어워드’ 등 유력 디자인 시상식에서 수상 실적을 쌓아왔다.

현대차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2015년 브랜드 독립 출범 당시부터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핵심 요소를 ‘디자인’이라고 판단했다. 디자인이 브랜드를 이끄는 가장 큰 힘이라고 본 것이다.

제네시스는 브랜드 독립 초기부터 오래 보아도 질리지 않는 영속성 있는 디자인을 추구했다. 브랜드 디자인 철학인 ‘역동적 우아함’(Athletic Elegance)으로 대변된다. 이는 △완벽한 비례 △환원주의적 디자인 △디테일에 대한 집착 등 3가지로 구체화한다. 

공간 마케팅도 제네시스가 시장 안착에 성공할 수 있었던 요소 중 하나로 꼽힌다. 제네시스는 브랜드 철학 및 정체성을 알리기 위해 전 세계 70여 곳에 제네시스 스튜디오·라운지·하우스 등 다양한 체험 공간을 구축했다. 제네시스 하우스 뉴욕·제네시스 스튜디오 상하이·스튜디오 하남 등이 대표적이다. 연간 수십만 명이 이곳에서 제네시스 브랜드를 경험한다.

전문가들은 제네시스의 수입차 수요 뺏기가 당분간 계속될 수 있다고 보는 상태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제품 라인업이 확장하면서 선택지가 넓어졌고, GV80·G80 등이 준대형급 프리미엄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웠다"며 "가성비를 앞세운 브랜드를 제외하면 수입차와 비교해 옵션 등의 상품성과 가격 측면의 이점도 있다. 수입차 브랜드 수요가 당분간 계속 제네시스 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했다.
 
제네시스사진연합뉴스
제네시스 GV80 부분 변경 모델.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