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시장, 미국 오세올라 카운티 대표단 접견...반도체 산업 협력 논의

2024-05-24 09: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이상일 경기 용인특례시장은 지난 23일 오후 시청에서 미국 플로리다주 오세올라 카운티 대표단을 접견하고, 반도체 등 첨단 미래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시장은 "미국에서 4차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오세올라 카운티 대표단의 방문을 환영한다"며 "용인 이동‧남사읍 일대 220만평에 삼성전자가 360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팹 6기를 건설하는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원삼면 126만평에 SK하이닉스가 122조원을 투자해 팹 4기를 세우는 대형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용인은 단일도시로서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를 가진 도시가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몇 개월 전 텍사스주 윌리엄슨 카운티 대표단이 방문해 용인과 우호교류협력 의향서를 체결했다"며 "윌리엄슨 카운티의 테일러시엔 삼성전자가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용인에 조성하는 국가산단은 테일러시 공장의 10배 이상 규모"라고 덧붙였다.

  • 글자크기 설정

이상일 시장 "양 국가 발전 위해 첨단산업 선도하도록 도시간 상호 협력 모색하자 "

이상일 시장이 미국 플로리다주 오세올라 카운티 대표단과 간담회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용인시
이상일 시장(왼쪽 여섯 번째]이 미국 플로리다주 오세올라 카운티 대표단과 간담회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용인시]

이상일 경기 용인특례시장은 지난 23일 오후 시청에서 미국 플로리다주 오세올라 카운티 대표단을 접견하고, 반도체 등 첨단 미래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이 시장을 비롯해 셰릴 그리브 오세올라 카운티 의장, 헌터 킴 경제진흥원장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는 최근 반도체 제조 기업 Skywater Technology, 반도체 전문 벤처 캐피탈사인 PlugandPlay Semiconductor 등을 유치하며 반도체 산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오세올라 카운티 대표단이 용인의 발전상을 듣고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싶다고 요청해 이뤄졌다.
 
미국 플로리다주 중심부에 위치한 오세올라 카운티는 플로리다의 67개 카운티 가운데 6번째 규모로, 인구 43만 명, 면적은 3901㎢다.
 
오세올라 카운티는 미국 최초 지방정부 기획 신도시인 ‘네오시티(Neocity)’ 개발을 진행 중이다. ‘네오시티’는 서울대 글로벌 R&DB 센터, 민관합작 반도체 비영리 연구기관 BRIDG 등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기관이나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반도체, 스마트 센서, 광학, 나노 기술 등 차세대 기술 발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약 202만㎡ 규모의 부지 내에 공립 과학고등학교를 개설하여 과학, 기술, 공학, 수학에 특화된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이상일 시장이 시의 L자형 반도체 벨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용인시
이상일 시장이 시의 L자형 반도체 벨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용인시]

플로리다주는 반도체, 우주항공, 방산 산업의 클러스터가 있으며, 다른 지역에 비해 법인세가 낮아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과 스타트업 기업들이 이전하고 있어 미국에서 주목받는 지역 중 하나이다. 플로리다주는 올랜도에 위치한 디즈니월드가 2022년 기준 미국 내 관광객 방문 1위를 달성할 만큼 관광산업도 발달해 있다.
 
이 시장은 “미국에서 4차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오세올라 카운티 대표단의 방문을 환영한다”며 “용인 이동‧남사읍 일대 220만평에 삼성전자가 360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팹 6기를 건설하는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원삼면 126만평에 SK하이닉스가 122조원을 투자해 팹 4기를 세우는 대형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용인은 단일도시로서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를 가진 도시가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몇 개월 전 텍사스주 윌리엄슨 카운티 대표단이 방문해 용인과 우호교류협력 의향서를 체결했다”며 “윌리엄슨 카운티의 테일러시엔 삼성전자가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용인에 조성하는 국가산단은 테일러시 공장의 10배 이상 규모”라고 덧붙였다.
 
이어 “삼성전자의 반도체 산단에는 150여개 소재‧부품‧장비‧설계 기업이 들어올 예정인데, 용인에 입주했거나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이 총 399개이며 SK하이닉스의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는 50여개 소재‧부품‧장비 기업이 들어설 것"이라며 "41년 전 한국에서 가장 먼저 반도체를 생산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는 차세대 기술을 연구하는 미래연구단지로 거듭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셰릴 그리브 오세올라 카운티 의장은 “이 시장의 미래지향적 리더십이 인상적”이라며 “네오시티를 통해 용인특례시처럼 반도체 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싶다. 앞으로 양 도시가 적극 협력해 나가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