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시그넷, 테슬라 제치고 美 전기차 충전 보조금 점유율 1위

2024-05-23 16:5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SK시그넷이 미국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조금 정책(NEVI) 사업에서 테슬라를 제치고 충전기 공급사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SK시그넷은 국내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중 유일하게 NEVI 요구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K시그넷의 미국 텍사스 공장은 작년 7월부터 양산 체제에 돌입해 현재 연간 1만기의 초급속 충전기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난 3월 프란시스 에너지와 협업해 오하이오주 최초의 NEVI 충전소 부지에 18분 이내에 완충이 가능한 400kW급 초급속 충전기를 공급했다.

  • 글자크기 설정

미국 충전사업자 75개소 공급… 테슬라 70개소

사진SK시그넷
[사진=SK시그넷]
SK시그넷이 미국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조금 정책(NEVI) 사업에서 테슬라를 제치고 충전기 공급사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SK시그넷은 현재까지 NEVI 프로그램 지급 대상으로 선정된 부지 537곳 중 75곳의 사업을 확보, 약 14%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SK시그넷과 독점 공급 계약을 맺은 충전사업자(CPO) 프란시스 에너지가 총 65곳에서 사업 승인을 받았고, 여기에 애플그린, 일렉트릭 에라 등 SK시그넷 제품으로 사업에 참여한 다른 CPO들의 부지를 더한 총 75곳에 SK시그넷의 충전기가 공급될 예정이다. 반면 테슬라는 70곳을 확보했다.

NEVI 프로그램은 미국 정부가 7만5000마일 이상의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전기차 충전소를 구축하기 위해 5년간 약 50억 달러의 예산을 투자하는 프로젝트로, 오는 2030년까지 충전소 5만곳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 20일 기준 22개 주에서 발표된 입찰(RFP) 결과, 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부지는 총 537곳으로, 보조금 지급액 규모는 3억 달러(약 4300억원) 수준이다.

NEVI 프로그램 보조금을 받으려면 충전기의 커넥터 유형, 결제 방법, 개인정보 보호, 속도,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미국 연방도로청이 발표한 전기차 충전기 표준을 충족해야 하며, 비용 기준 구성품의 55% 이상을 미국산 자재로 사용하고 모든 부품을 미국에서 조립해야 한다.

SK시그넷은 국내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중 유일하게 NEVI 요구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K시그넷의 미국 텍사스 공장은 작년 7월부터 양산 체제에 돌입해 현재 연간 1만기의 초급속 충전기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난 3월 프란시스 에너지와 협업해 오하이오주 최초의 NEVI 충전소 부지에 18분 이내에 완충이 가능한 400kW급 초급속 충전기를 공급했다.

SK시그넷은 프란시스 에너지에 2027년까지 최소 1000기 이상의 초급속 충전기를 5년간 장기계약으로 독점 공급할 예정이다.

박흥준 SK시그넷 본부장은 "앞으로도 NEVI 프로그램의 주요 파트너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이어 나가 사업 부지를 확대하고 성장을 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