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물가 상방압력…하반기 금리인하 불확실성 더 커졌다"

2024-05-23 12:07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물가가 상방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훨씬 더 커졌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3.5% 유지 의견은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지만 물가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금통위원과 관련해선 "물가 상승 압력이 올라간 것은 사실이지만 내수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보이고 물가상승률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통화 정책 파급 시차를 고려하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 글자크기 설정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선 "제한적" 선 그어

3개월 뒤 금리 전망 금통위원 5명 '3.5%' 유지

금통위원 1명 "선제적 금리인하 가능성 열어둬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0523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물가가 상방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훨씬 더 커졌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가 3.5%로 11차례 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가 있지만 물가 상방 압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선 "물가가 확실히 오르면 인상을 고려해야겠지만 현 상황에서 가능성이 제한되지 않나 파악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2.5%로 높였지만 물가 수준은 2.6%를 그대로 유지한 것과 관련해 "성장률 상향 조정의 4분의3 정도가 물가 영향이 크지 않은 순수출 증가에 기인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겨울 날씨가 좋아 에너지 수입이 줄었고 반도체 투자가 지연되면서 설비 수입도 줄었다"면서 "순수출 증가는 내수보다 물가에 주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에 따르면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은 3개월 후 기준금리 수준에 대해 대부분(5명) 3.5%로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이 중에서도 한 명은 지난 4월 금통위와 마찬가지로 '낮아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했다. 

이 총재는 "3.5% 유지 의견은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지만 물가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금통위원과 관련해선 "물가 상승 압력이 올라간 것은 사실이지만 내수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보이고 물가상승률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통화 정책 파급 시차를 고려하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