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그룹코리아, 비영리 사회공헌재단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 출범

2024-05-23 10:0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비영리 사회공헌재단인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을 출범했다고 23일 밝혔다.

    틸 셰어 폭스바겐그룹코리아 대표이사 사장은 "한국시장 진출 20주년을 맞이해 사회공동체의 일원 '우리'로서 사회에 보다 의미 있게 기여하고 긍정적인 성장을 촉진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고자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을 출범하게 됐다"며 "재단 출범을 계기로 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한국 고객들께 회사와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새롭게 출범한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은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주력해 온 여러 사회공헌활동을 이어받아 위: 런 (WE: Learn), 위: 프리저브 (WE: Preserve), 위: 셰어 (WE: Share) 등 세 가지 주요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 글자크기 설정

지속가능 성장 도모·사회적 책임 이행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비영리 사회공헌재단인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을 출범했다고 23일 밝혔다.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은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한국시장 진출 20주년을 맞아 국토교통부의 인가를 얻어 설립한 비영리재단이다. 첨단자동차 분야에 기여한다는 목표로 지속가능한 성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완수라는 두 가지 미션을 추진, 한국사회의 신뢰받는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이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교육과 환경, 지역사회에 초점을 맞춰 온 폭스바겐그룹코리아의 유산을 바탕으로 앞으로 그룹 및 산하 네 개 브랜드(폭스바겐, 아우디, 람보르기니, 벤틀리)의 공동의 재정적 지원을 통해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사회공헌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재단명은 혁신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모빌리티 기업으로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폭스바겐그룹’에 협력과 단결, 포용을 상징하는 순우리말 ‘우리’를 더해 지었다. 한국의 자동차 소프트웨어 인재를 양성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환경을 조성하며, 지역사회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한국의 더 나은 내일을 함께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자는 취지를 담았다.

틸 셰어 폭스바겐그룹코리아 대표이사 사장은 "한국시장 진출 20주년을 맞이해 사회공동체의 일원 ‘우리’로서 사회에 보다 의미 있게 기여하고 긍정적인 성장을 촉진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고자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을 출범하게 됐다"며 "재단 출범을 계기로 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한국 고객들께 회사와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새롭게 출범한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은 폭스바겐그룹코리아가 주력해 온 여러 사회공헌활동을 이어받아 위: 런 (WE: Learn), 위: 프리저브 (WE: Preserve), 위: 셰어 (WE: Share) 등 세 가지 주요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위: 런은 자동차의 두뇌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인식, 모빌리티 산업을 이끌어갈 자동차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포괄한다. 대학생을 위한 대표 프로그램인 SEA:ME는 정부가 추진하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COSS) 산하 미래자동차 컨소시엄 사업단에 속한 국내 대학 및 독일 소재 비영리 코딩학교 42 볼프스부르크와 체결한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위: 프리저브는 탄소중립의 중요성과 같은 주제를 아우르는 환경교육 콘텐츠 제공에 전념한다. 지금까지 전국 5천400여 명의 초등학생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5만7000여 그루의 나무를 기증했다. 위: 셰어는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집중한다. 대표 프로그램으로 2018년부터 진행해 온 ‘시크릿 산타’와 ‘방한키트’ 나눔활동이 있다.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 로고 사진폭스바겐
폭스바겐그룹 우리재단 로고 [사진=폭스바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