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애플페이 도입, 책임감 때문···AI엔 1조 투자"

2024-05-22 17:46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애플페이를 도입한 배경에 대해 "국제 결제 표준 규격인 EMV(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카드) 컨택리스(비접촉 결제 서비스) 기술의 파생을 위한 책임감으로 도입했다"고 밝혔다.

    22일 현대카드에 따르면 정 부회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에서는 결제 스타트업 회사가 없다"면서 "이는 국내에 EMV 컨택리스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 번 세게 (애플페이에) 들어가자고 했고, EMV의 파생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EMV 컨택리스 기술 파생 위한 것···강력 주장"

"현대카드, PLCC·GPCC 성공한 유일무이 회사"

정태영 현대카드·현대커머셜 부회장 사진 현대카드
정태영 현대카드·현대커머셜 부회장. [사진= 현대카드]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애플페이를 도입한 배경에 대해 "국제 결제 표준 규격인 EMV(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카드) 컨택리스(비접촉 결제 서비스) 기술의 파생을 위한 책임감으로 도입했다"고 밝혔다.

22일 현대카드에 따르면 정 부회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에서는 결제 스타트업 회사가 없다"면서 "이는 국내에 EMV 컨택리스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 번 세게 (애플페이에) 들어가자고 했고, EMV의 파생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애플페이에 5000억원의 비용이 들었다고 하지만 그렇지 않다"며 "(애플페이 도입이) 국부 유출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그렇데 치면 외산차나 외산폰은 어떻게 쓰느냐"고 지적했다.

정 부회장은 이어 "현대카드는 PLCC(상업자 전용 신용카드)와 GPCC(범용 신용카드)를 모두 성공시킨 전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회사"라고 자평했다. 그는 "PLCC 사업은 사활을 건 도전이었다"라며 "데이터 스트럭처(구조)를 만들어서 데이터 플랫폼을 판매하고, 데이터로 승부를 건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정 부회장은 "인터넷 혁명도 결국에는 데이터를 위해 있었다고 본다"며 "이런 데이터 강을 넘기 위해서는 쌀을 얼마나 팔았냐는 중요하지 않고, 내연기관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인공지능(AI)에만 1조원을 투자했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5년짜리 비전 대신 중장기적으로 가려고 하고, 시장 점유율이나 손익은 그에 비해 중요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