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2024년 경북산림사관학교 개강식 개최

2024-05-22 16:46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경상북도는 22일 청송에 있는 산림조합중앙회 임업인종합연수원에서 '산촌경제 활력 주도, 숲으로 잘사는 경북'이라는 주제로 입학생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4년 경북산림사관학교 개강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도는 2023년부터 전국 최초로 대학생‧고교생을 포함한 청년, 임업인 장기 교육 과정인 '경북산림사관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도는 경북산림사관학교를 통해 산림 자원의 가치 극대화와 산촌의 안정 정착에 역점을 둔 교육으로 청년과 임업인이 경북의 우수한 산림 자원을 기반으로 친환경 비즈니스에 성공할 수 있게 돕고 있다.

  • 글자크기 설정

'산촌경제 활력 주도, 숲으로 잘사는 경북', 5개 과정 137명 교육 본격 실시

경북산림사관학교 개강식 장면 사진경상북도
경북산림사관학교 개강식 장면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는 22일 청송에 있는 산림조합중앙회 임업인종합연수원에서 ‘산촌경제 활력 주도, 숲으로 잘사는 경북’이라는 주제로 입학생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4년 경북산림사관학교 개강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도는 2023년부터 전국 최초로 대학생‧고교생을 포함한 청년, 임업인 장기 교육 과정인 ‘경북산림사관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도는 경북산림사관학교를 통해 산림 자원의 가치 극대화와 산촌의 안정 정착에 역점을 둔 교육으로 청년과 임업인이 경북의 우수한 산림 자원을 기반으로 친환경 비즈니스에 성공할 수 있게 돕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 3개 시범 과정 운영에 이어 단기 임산물의 가공과 유통, 산림 치유·휴양 분야 등으로 확대되는 산림 분야 트렌드와 ICT 디지털임업대응을 위해 5개 과정으로 확대 개편하고, 수요자 맞춤형 교육으로 본격적인 산림 인재 양성에 돌입한다.
 
경북산림사관학교는 임업인 4개 과정 100명 모집에 178명이 지원해 평균 1.8대 1의 경쟁률로 전국에서 가장 넓은 사유림을 보유한 경북 임업인의 뜨거운 관심과 지지를 받았다.
 
특히 숲을 활용해 인체의 건강과 면역력을 높이는 산림 치유 등을 임업 경영에 접목한‘산림치유‧휴양 활용 과정’은 새롭게 신설됐으며, 2.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는 임업인이 숲을 경영하면서 산림복지서비스까지 제공해 추가 소득을 충분히 올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임업 관련 고교생‧대학생이 대상인 ‘산림청년을 잡(JOB)아라’ 과정에는 대구대학교‧영남대학교‧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등에서 학생 25명을 선발해 경북 임업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미래 산림 인재로 양성한다.
 
이날 개강식에는 지난해 졸업생으로 구성된 (사)경북산림사관연합회 박경인 회장에게 감사패를 수여하고, 도의원, 도내 임업단체장 등이 교육생들과 함께 ‘숲으로 잘사는 경북’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또한 ‘경북 산림 정책’ 소개(도규명 산림자원과장)와 ‘함께하는 산불 예방(김명철 한국산불방지협회 국장)’ 특강으로 산림 정책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앞으로 교육은 5~8월에 과정 별로 15회 차, 총 100시간의 이론 교육과 실습, 현장 견학, 토론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교육생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한 현장 교육을 진행한다.
 
조현애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지방 시대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경북산림사관학교 교육생이 산촌경제 활력에 구심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임업 6차산업, 스마트 임업 등 미래 산림 분야를 끌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