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늘어난 임금근로일자리 29.3만개…30만명대 붕괴

2024-05-22 12: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지난해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폭이 30만명대를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늘어난 일자리 8할 이상은 60대 이상 노인 일자리로, 20대 이하 청년 일자리는 10만개 가까이 줄어 5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74만9000개로 1년 전보다 29만3000개 증가했다.

  • 글자크기 설정
2023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자료통계청
2023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자료=통계청]
지난해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증가폭이 30만명대를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늘어난 일자리 8할 이상은 60대 이상 노인 일자리로, 20대 이하 청년 일자리는 10만개 가까이 줄어 5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74만9000개로 1년 전보다 29만3000개 증가했다. 증가 규모는 2022년 1분기(75만2000개) 이후 7개 분기 연속 감소로, 지난해 3분기 34만6000개 이후 30만명대도 무너졌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24만9000개가 증가하며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늘어난 일자리 중 84.9%가 노인 일자리인 셈이다.  늘어난 60대 이상 일자리는 보건·사회복지(7만5000개), 제조업(3만4000개), 사업·임대(2만6000개)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 일자리는 9만7000개가 줄었다. 지난 2022년 4분기(-3만6000개), 지난해 1분기(-6만1000개), 2분기(-6만8000개), 3분기(-8만개) 이어 4개 분기 연속 감소로, 감소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도소매(-2만개), 정보통신(-1만4000개), 공공행정(-1만3000개) 등에서 감소했다. 

전체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 업종에서 10만7000개의 일자리가 늘며 가장 많이 증가했다. 숙박·음식(3만9000개)과 운수·창고(3만8000개) 업종이 뒤를 이었다.

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에서는 선박 및 보트 건조업(9000개), 자동차 신품 부품(7000개), 일차전지·축전지(6000개) 등에서 증가했다. 

성별을 기준으로 여성 일자리가 20만4000개 늘어 남성 일자리(8만9000개)보다 증가폭이 컸다. 남자는 제조업(3만5000개), 운수·창고(2만2000개), 전문·과학·기술(1만8000개) 등에서 증가했고 여자는 보건·사회복지(9만1000개), 숙박·음식(2만7000개), 운수·창고(1만5000개) 등에서 늘었다. 

전체 일자리 중 1년 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70.8%(1469만3000개)였고 대체되거나 새로 생긴 신규채용 일자리는 29.2%(605만6000개)였다. 

이중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16.9%(350만4000개), 기업체 생성 또는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12.3%(255만2000개)를 차지했다. 기업체 소멸 또는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일자리는 225만9000개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