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AI 안전연구소 설립 추진…글로벌 네트워크 동참"

2024-05-21 22:17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점차 커지는 인공지능(AI)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AI 안전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오늘 'AI 서울 정상회의'는 그간의 노력을 결집해 글로벌 차원의 AI 규범과 거버넌스를 진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AI 안전, 혁신, 포용을 조화롭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AI 서울 정상회의가 글로벌 연대의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글자크기 설정

'AI 서울 정상회의' 개회사 통해 "AI 안전성 확보해야"

"자유로운 연구개발 필요…글로벌 경제에 새 성장 동력"

"지역·소득 관계없이 혜택 누리도록 포용성 확보 중요"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경기 양주시 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경기 양주시 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점차 커지는 인공지능(AI)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AI 안전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21일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공동으로 개최한 'AI 서울 정상회의' 개회사에서 "AI가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우리 사회의 안녕과 민주주의가 훼손되지 않도록 AI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러한 점에서 영국,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AI 안전연구소 설립 노력을 환영한다"며 "대한민국도 AI 안전연구소 설립을 추진해 글로벌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에 동참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AI가 가진 커다란 잠재력을 구현해 내기 위해서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AI의 혁신을 추구해야 한다"며 "이러한 AI 혁신은 글로벌 경제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부여하고, 환경오염 등 전 지구적인 난제를 풀어가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거주 지역과 소득 수준에 관계 없이 누구나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AI의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미래 세대에게 혁신의 혜택이 이어지도록 지속 가능한 AI 발전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생성형 AI 등장 이후 AI 기술이 전례 없는 속도로 발전하면서 인류 사회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처럼 AI의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딥페이크를 통한 가짜뉴스와 디지털 격차 등 AI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디지털은 국경을 넘어 초연결성을 지닌 만큼 글로벌 차원의 디지털 규범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UN 총회에서 AI에 대해 최초로 결의한 'UN AI 결의안'과 G7 차원에서 안전한 AI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는 '히로시마 AI 프로세스'도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오늘 'AI 서울 정상회의'는 그간의 노력을 결집해 글로벌 차원의 AI 규범과 거버넌스를 진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AI 안전, 혁신, 포용을 조화롭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AI 서울 정상회의가 글로벌 연대의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열린 AI 정상회의와 같이 이번 회의에도 주요 7개국(G7) 정상과 싱가포르 정상이 초청됐다. 유엔(UN), 유럽연합(EU),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 수장과 AI 산업을 이끄는 삼성전자, 네이버, 구글,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 글로벌 기업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