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리인하 지연에 구리 가격 오름세…국내 제조업 시름 깊어진다

2024-05-21 16:3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어지자 구리 등 주요 광물 가격이 오름세로 나타났다.

    이처럼 원자재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국내 제조기업들의 투자가 움츠러들고 있다.

    21일 한국광해광업공단의 '주요 광물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3주차 동(구리) 가격은 t당 1만203달러로 전주 대비 4.0% 상승했다.

  • 글자크기 설정

동 가격 1주일새 4.0% 상승…니켈도 4.0%↑

제조기업 34.2% "투자계획 축소·연기" 토로

한국광해광업공단의 주요 광물가격 동향에 따르면 5월 3주차 동·니켈의 가격은 전주 대비 각각 4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광해광업공단의 주요 광물가격 동향에 따르면 5월 3주차 동·니켈의 가격은 전주 대비 각각 4.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한국광해광업공단]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어지자 구리 등 주요 광물 가격이 오름세로 나타났다. 이처럼 원자재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국내 제조기업들의 투자가 움츠러들고 있다. 

21일 한국광해광업공단의 '주요 광물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3주차 동(구리) 가격은 t당 1만203달러로 전주 대비 4.0% 상승했다. 이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둔화에 따른 금리 인하 지연이 주 원인으로 풀이된다. 

또 공급 부족 우려로 상승 압력이 발생한 데다 런던금속거래소(LME)의 5월 3주차 동 재고량이 전주 대비 1.1% 감소해 타이트한 수급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다만 미국의 대(對)중 무역관세 인상 조치로 무역 갈등 심화 우려가 제기되면서 상승 압력의 일부를 상쇄했다고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니켈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니켈의 t당 가격은 1만9394달러로 5월 2주차 가격보다 4.0% 상승했다. 광해광업공단은 "중국의 부동산 경기부양책 추진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따른 달러 가치 하락으로 상승 압력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대중 무역관세 상향 조치와 공급 과잉 등으로 인한 거래소 재고 증가가 상승 압력의 일부를 상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주요 광물 중 하나인 아연의 가격도 t당 2937달러로 전주 대비 2.0% 오르면서 제조기업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230곳을 대상으로 투자동향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10곳 중 3곳(34.2%)은 기존 계획보다 투자가 축소·지연됐다고 말했다.

구리와 아연, 니켈은 연초 대비 각각 14.7%, 7.2%, 14.4%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경쟁국의 수요 확대와 1300원대의 고환율을 주 원인으로 지목했다.

기업들은 '원자재가 등 생산비용 증가'(31.2%)를 투자 축소의 주요 원인이라고 입을 모았다. 투자 지연 요인으로는 '수요·판매부진으로 신규투자 필요성 저하(25.9%), '고금리 지속에 따른 투자자금 조달 부담(21.1%) 등이 꼽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