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초선들에 "진영 주장 반대하면 '수박'...대의민주주의 위기"

2024-05-21 15:24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21일 "보수와 진보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진영의 주장에 반대하거나 이의를 제기하는 정치인을 향해 '수박'이라고 부르며 역적이나 배반자로 여긴다"며 "대의민주주의 큰 위기"라고 일침했다.

    그는 이어 "정치는 나를 뽑은 사람들만이 아니라 상대방을 뽑은 사람도 존중해야 한다"며 "적이 아닌 파트너로 상대방을 바라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장은 "여야가 서로 공격하고 방어하지만, 공방이 끝나면 '저 사람은 참 훌륭하다'고 인정을 해 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런 정치를 하는 정치인에게 자꾸 '수박'이라고 한다"며 "무엇이 올바른 정치인지 잘 생각해 달라"고 당부했다.

  • 글자크기 설정

"보수와 진보 대립 속 팬덤정치 생겨"

김진표 국회의장이 2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박물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초선의원 의정연찬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진표 국회의장이 2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박물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초선의원 의정연찬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진표 국회의장은 21일 "보수와 진보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진영의 주장에 반대하거나 이의를 제기하는 정치인을 향해 '수박'이라고 부르며 역적이나 배반자로 여긴다"며 "대의민주주의 큰 위기"라고 일침했다.
 
김 의장은 이날 국회박물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의원 초선 당선인 연찬회 인사말에서 "지금은 정치인들이 당의 명령에 절대복종하지 않으면 큰 패륜아가 된 것처럼 '수박', '왕수박', '중간수박' 이런 식"이라고 비판했다. 
'수박'은 민주당 친명(친이재명) 성향의 강성 당원들이 비명(비이재명) 인사들을 겨냥해 사용하는 멸칭으로 불린다.
 
김 의장은 "보수와 진보의 대립 속 진영정치와 팬덤정치가 생겼고, 나쁜 폐해도 생겨났다"며 "이 같은 문제가 정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정치는 나를 뽑은 사람들만이 아니라 상대방을 뽑은 사람도 존중해야 한다"며 "적이 아닌 파트너로 상대방을 바라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장은 "여야가 서로 공격하고 방어하지만, 공방이 끝나면 '저 사람은 참 훌륭하다'고 인정을 해 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런 정치를 하는 정치인에게 자꾸 '수박'이라고 한다"며 "무엇이 올바른 정치인지 잘 생각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