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VIP 격노설' 진위 가린다...김계환 '묵묵부답'·박정훈 측 "뚜렷한 증거 있어"

2024-05-21 15:32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수사 외압 사건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사범죄수사처(공수처)가 김계환 해병대사령관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을 한 날에 소환했다.

    현재 김 사령관은 지난해 7∼8월 채 상병 순직 사건을 초동 조사한 박 전 단장에게 윗선의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당시 김 사령관은 박 전 단장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간부 8명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수사 결과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한 다음날 예정된 언론 브리핑 취소를 통보하고 박 전 단장에게 부대 복귀를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 글자크기 설정

공수처 출석한 김계환,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박정훈 측 "공수처, 김 사령관에게 시인 받았을 것"

공수처, 대질심문 통해 VIP 격노설 진위 가릴 예정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21일 오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21일 오전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수사 외압 사건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사범죄수사처(공수처)가 김계환 해병대사령관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을 한 날에 소환했다. 공수처는 두 사람을 불러 'VIP(윤석열 대통령) 격노설'에 대한 진위를 가린다. 이날 김 사령관은 취재진에게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박 전 단장 측은 "뚜렷한 증거가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21일 공수처 수사4부(이대환 부장검사)는 김 사령관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오전 9시 20분께 공수처에 출석한 김 사령관은 '대통령이 격노했다고 말한 게 맞느냐' '장관의 이첩 보류 지시가 외압이라고 생각했나' '박 대령 주장은 거짓이라고 보느냐' 등 취재진 질문에 모두 답하지 않고 빠른 걸음으로 공수처로 들어갔다.

반면 박 전 단장 측은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날 오후 박 전 단장과 함께 공수처로 출석한 김정민 변호사는 취재진에게 "(윤 대통령 격노에 대한) 뚜렷한 증거가 있기에 공수처가 아침 조사를 통해 (김 사령관에게) 시인받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는 "김 사령관이 지난해 7월 31일 임기훈 당시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과 통화한 내역이 있기에 명확하다. 문제는 김 사령관이 군사법원에서 모해위증 혐의를 받고 있는 것"이라며 "하루빨리 진실을 말하고 더 이상 해병대에 비극이 없었으면 한다. 해병대 내 쓸데없는 소모전이 마무리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21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21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공수처는 두 사람을 동시에 부른 만큼 대질 조사를 통해 'VIP 격노설'에 대한 진위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윗선에서 받은 지시 내용 등을 확인하고 있다.

대질 조사를 통해 두 사람이 얼굴을 마주하는 것은 지난 2월 1일 중앙군사법원에서 열린 박 전 단장 항명 혐의 재판 이후 110일 만이다.

앞서 공수처는 지난 4일에도 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15시간가량 조사를 벌였다. 이후 공수처는 김 사령관과 2차 조사 일정을 조율한 끝에 17일 만인 이날 김 사령관을 다시 소환했다.

현재 김 사령관은 지난해 7∼8월 채 상병 순직 사건을 초동 조사한 박 전 단장에게 윗선의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당시 김 사령관은 박 전 단장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간부 8명에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수사 결과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한 다음날 예정된 언론 브리핑 취소를 통보하고 박 전 단장에게 부대 복귀를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박 전 단장 측은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박 전 단장에게 전화해 "혐의자와 혐의 내용을 다 빼라"는 지시를 했다고 주장했다.

또 박 전 단장은 당시 김 사령관에게 이 같은 이유를 묻자 김 사령관이 "오전 대통령실에서 VIP 주재 회의에서 1사단 수사 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VIP가 격노하면서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김 사령관은 이를 전면 부인하며 "VIP란 단어 언급 자체를 한 사실도 없고, VIP가 격노해 장관과 통화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없다"며 박 전 단장의 허위 진술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