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포럼은 △한·일 관계의 현 단계와 미래 비전 △한·일 경제·문화·인적 교류 확대를 위한 제언 △인도-태평양의 지정학과 한·일 관계 △한·일 사회의 공통과제와 공진을 위한 방안 등 총 4가지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됐으며, 조 장관을 비롯해 유흥수 전 주일본대사,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 장제국 동서대학교 총장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조 장관은 개회사에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지난 2년간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한·일 관계가 지난해부터 정상적인 궤도에 올랐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러한 흐름이 이어지기 위해선 상호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 장관은 "한·일 양국이 어렵게 일궈낸 관계 개선의 흐름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서로를 이해하며 관계를 소중히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글로벌 복합 위기 상황 속에서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고 있는 양국의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대략적인 얼개만 마련되었을 뿐 아직 살을 붙이지 못하고 있다"며 "좀 더 다듬어진 밑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분들의 지혜를 모아야 하고, 이를 토대로 일본과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사업을 추진하려면 한·일 양국에서 사회적 담론을 통한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유흥수 전 주일본대사는 한·일 관계에 대해 "매우 특수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유 전 대사는 "과거사 문제라든가 영토 문제라든가 또 여야 정치권의 개입으로 인해서 그걸 정치에 활용한다든가 이러한 특수한 관계로 인해서 조그마한 갈등 상황이 생기더라도 금방 악화할 수 있는 휘발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 전 대사는 "양국 관계가 특수성을 가지고 있지만 사소한 문제가 생겼을 때 금방 무너져 버리는 그런 관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한·일 관계의 '관계'라는 것이 이제 국제사회의 관계 협력과 바로 직결됐다는 점을 고민해 볼 시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는 "한·일 관계 변화의 출발 핵심은 제3자 변제 해법이었다고 생각한다"며 "정치 결단을 통해 물꼬가 마련됐다"고 윤석열 정부의 노력을 평가했다. 이어 "한·일 관계 개선 성과가 일본 수출 규제 완화, 화이트리스트 복원 등 여러 단계에서 나타났지만, 이제는 단순히 양자 차원이 아닌 지역 차원, 글로벌 차원으로 봐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장제국 동서대학교 총장 겸 한·일 포럼 대표간사 역시 "한·일이 동일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 들어서 정상적인 관계로 가고 있다"고 호평했다. 다만 "한·일 관계가 안정단계가 아니기 때문에 혹여 문제가 생긴다면 초기에 대응을 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