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전주시'…공동육아나눔터 확대

2024-05-16 11:02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전북 전주시가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열린 돌봄 공간인 공동육아나눔터를 늘려나가고 있다.

    시는 육아 부담을 경감시키고, 양육친화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근 노송동에 열린 돌봄 공간인 공동육아나눔터 6호점을 신규 조성했다고 16일 밝혔다.

    공동육아나눔터 6호점은 지난 1월 공동육아나눔터 5호점(덕진점)이 문을 연 지 3개월 만에 조성됐으며, 지난해 10월 여성가족부와 신한금융그룹이 실시한 민관협력 공모사업에 선정돼 8400만원 상당의 공간 내부 인테리어 공사 및 기자재 지원을 받아 조성됐다.

  • 글자크기 설정

노송동에 공동육아나눔터 6호점 조성

전주시청 전경사진전주시
전주시청 전경[사진=전주시]
전북 전주시가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열린 돌봄 공간인 공동육아나눔터를 늘려나가고 있다.

시는 육아 부담을 경감시키고, 양육친화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근 노송동에 열린 돌봄 공간인 공동육아나눔터 6호점을 신규 조성했다고 16일 밝혔다.

공동육아나눔터 6호점은 지난 1월 공동육아나눔터 5호점(덕진점)이 문을 연 지 3개월 만에 조성됐으며, 지난해 10월 여성가족부와 신한금융그룹이 실시한 민관협력 공모사업에 선정돼 8400만원 상당의 공간 내부 인테리어 공사 및 기자재 지원을 받아 조성됐다.

노송 공동육아나눔터는 서노송 서로봄 플랫폼 1층 116㎡ 공간에, 프로그램실과 실내놀이터, 수유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곳에서는 핵가족화로 인해 약화된 가족 돌봄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자녀 돌봄을 위한 공간 제공 △부모 등 보호자와 자녀가 함께 하는 프로그램 운영 △지역사회 주민이 함께하는 품앗이 공동체 구성·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시는 향후 맞벌이 등 자녀를 돌보는 부모들의 육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동육아나눔터 활성화를 위한 ‘전주시 공동육아나눔터 조례’ 제정을 추진하는 한편, 양육지원과 저출산 및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평가 받는 공동육아나눔터 시설을 꾸준히 확충해나갈 방침이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 2011년부터 현재까지 △서신동 △에코시티 △혁신도시 △삼천동 △덕진동 △노송동 등 총 6곳(완산구 3곳, 덕진구 3곳)의 공동육아나눔터를 조성·운영해왔다. 

지난해 기준으로 약 3만명 정도의 아동과 보호자가 전주시 공동육아나눔터를 이용했다. 
 
전북 최초로 발신자 표시 서비스 ‘스마트 레터링 시스템’ 구축
사진전주시
[사진=전주시]
전북 전주시는 민원인에게 전화를 걸 때 민원인의 스마트폰 화면에 시청 이미지와 함께 부서 행정 전화 표시 등 발신자 정보를 표시해주는 ‘스마트 레터링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16일 밝혔다.

스마트 레터링 서비스는 보이는 ARS 서비스 공유 앱이 설치된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에 한해 우선 서비스가 제공된다.

시는 ARS 서비스 공유 앱이 설치되지 않은 스마트폰과 보안정책상 미지원되는 아이폰 사용자에 대해서는 부재 중 통화에 대해 카카오 알림톡 서비스를 통해 시청 부서 정보와 발신자 번호, 시청 누리집 링크를 제공하도록 추가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시는 이 서비스가 도입되면 그동안 시청으로부터 걸려 온 전화를 보이스피싱 또는 스팸 전화로 오인해 받지 않아 민원 행정 처리가 지연되었던 부분을 상당부문 해소하고, 민원인들도 안심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어 신속한 행정 처리 및 민원 업무 처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시에 시는 통화 종료 후 에필로그 화면에서 시청에서 전송하는 URL 연결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행사 안내, 시정 안내 등)가 제공되는 만큼 시정 신뢰도 향상과 시정 홍보 효과도 극대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새롭게 시행되는 스마트 레터링 시스템을 보안성과 안정성이 검증된 국내 최초 GS 인증 제품으로 도입해 안정성도 확보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