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2024년 주거복지 시행계획' 포용·안정·지속가능 설정

2024-05-14 09:59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경기 수원시(시장 이재준)가 포용·안정·지속가능을 방향으로 설정한 '2024년 주거복지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주거복지 시행계획은 △포용적인 수원형 주거정책 △안정적인 주거환경 △지속가능한 주거공동체를 방향으로 설정하고 5개 전략, 19개 추진 과제, 38개 단위 사업으로 이뤄져 있다.

    '포용적인 수원형 주거정책'은 주거취약·저소득가구 등 특정 계층에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획일적·소극적 주거복지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특성과 자원, 어젠다(의제)를 고려한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 글자크기 설정

"시민들이 거주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안정된 주거환경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도록 할 것"

수원특례시청 전경사진수원시
수원특례시청 전경[사진=수원시]

경기 수원시(시장 이재준)가 포용·안정·지속가능을 방향으로 설정한 ‘2024년 주거복지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주거복지 시행계획은 △포용적인 수원형 주거정책 △안정적인 주거환경 △지속가능한 주거공동체를 방향으로 설정하고 5개 전략, 19개 추진 과제, 38개 단위 사업으로 이뤄져 있다.
 
‘포용적인 수원형 주거정책’은 주거취약·저소득가구 등 특정 계층에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획일적·소극적 주거복지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특성과 자원, 어젠다(의제)를 고려한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안정적인 주거환경’은 주거 여건 향상을 위한 제도 마련·독자적인 공공주택 모형 개발·도시재생·그린 리모델링 등으로 가시적이고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주거공동체’는 다양한 계층이 함께 거주하는 마을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한 폭넓은 주거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5개 전략은 주거취약계층 지원 강화, 공공주택 공급 확대, 주거복지 추진 기반 구축, 노후주택 주거환경 개선, 모두를 위한 주거공동체 조성(Enhanc이다.
 
세부 사업은 수원형 주거 기준 도입·공포, 주택 물색·계약 지원사업, 가족돌봄 공동체주택 ‘허그&허브’ 운영,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보증료 지원사업 ,역세권 새빛청년존(Zone) 등 38개다. 시청 도시재생과가 정책을 총괄하고, 과제별 소관 부서와 수원도시재단 등이 정책을 시행한다.
 
시는 지난해 5개 추진 전략, 19개 추진 과제, 35개 단위 사업으로 이뤄진 ‘2023년 주거복지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했고, 성과지표 달성률은 123.8%에 달했다. 달성률이 100% 이상인 사업은 27개였다.
 
시 관계자는 “주거 여건이 취약한 시민들이 거주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안정된 주거환경에서 지속가능한 주거 공동체를 만들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