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한화시스템과 위성·태양전지 기술 협력 강화 업무협약 체결

2024-05-13 16:2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인하대학교가 13일 한화시스템 사내벤처 '플렉셀 스페이스(Flexell Space)'와 위성·태양전지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최기영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겸 교학부총장은 "한화시스템 플렉셀 스페이스와 협력해 국내 항공우주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우주 핵심기술 연구기관으로 국내 우주개발과 관련한 연구와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우주산업 육성·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는 "탠덤 태양전지가 우주로 가는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이번 협약은 상용 기술을 접목한 미래 태양전지의 운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첫 단계로 방사능과 태양열에 의한 극고온·극저온 등이 반복되는 실제 우주 환경을 견디며 실용 가치가 있음을 입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설정

누리호 4차 탑재 예정 인하대 큐브위성

한화시스템의 유연 태양전지 공급 협력

사진 왼쪽부터 최기영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겸 교학부총장과 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가 업무협약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인하대
(사진 왼쪽부터) 최기영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겸 교학부총장과 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가 업무협약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인하대]
인하대학교가 13일 한화시스템 사내벤처 ‘플렉셀 스페이스(Flexell Space)’와 위성·태양전지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인하대학교와 한화시스템 플렉셀 스페이스는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위성 설계 혁신을 위한 기술 협력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국내 우주산업 소부장 제품의 발전과 세계적인 주도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최기영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한 ‘2022 큐브위성 경연대회’에 최종 선정되면서 2025년 하반기에 발사 예정인 누리호 4차에 큐브위성을 탑재할 수 있게 됐다.

최기영 교수 연구팀은 이후 세계 최초로 큐브위성 내에 유연 구조의 태양전지를 말아서 탑재한 후 우주에서 전개하는 방식의 큐브위성을 제작하기 위해 나섰다.

그 결과, 관측 위성인 ‘INHARoSAT(INHA Rollable Solar Array Testbed·인하로셋)’을 자체 개발하게 됐고, 이번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플렉셀 스페이스가 개발한 ‘우주용 탠덤 유연 태양전지’를 공급받아 활용할 계획이다.

CIGS와 페로브스카이트를 결합한 탠덤 태양전지는 낮은 비용으로 기존 제품군 대비 가볍고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어 위성·우주선 산업 발전의 동력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플렉셀 스페이스의 탠덤 태양전지는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두루마리 휴지처럼 말렸다 펼쳐지는 구조로 탑재돼 원하는 출력까지 태양전지를 펼쳐 사용할 수 있으며 소면적·곡면 등 다양한 위성 표면에 적용 가능하다.

인하대학교는 한화시스템 플렉셀 스페이스와의 업무협약 채결이 소형위성의 전력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고, 우주 태양광 발전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한화시스템 플렉셀 스페이스와 함께 위성을 개발할 때 혁신적인 태양전지 기술을 접목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최기영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겸 교학부총장은 “한화시스템 플렉셀 스페이스와 협력해 국내 항공우주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우주 핵심기술 연구기관으로 국내 우주개발과 관련한 연구와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우주산업 육성·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는 “탠덤 태양전지가 우주로 가는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이번 협약은 상용 기술을 접목한 미래 태양전지의 운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첫 단계로 방사능과 태양열에 의한 극고온·극저온 등이 반복되는 실제 우주 환경을 견디며 실용 가치가 있음을 입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