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모의 미술마을 正舌] 비엔날레, 사치재 산업의 각축장

2024-05-07 08:00
  • 글자크기 설정
클레어 퐁텐 어디나 외국인 2024 네온사인 사진Marco Zorzanello Courtesy of 베니스 비엔날레
클레어 퐁텐, 어디나 외국인, 2024, 네온사인, [사진=Marco Zorzanello Courtesy of 베니스 비엔날레]
 
◆지구와 인류의 혼란과 갈등 그리고 사치
 
2024 베니스 비엔날레는 위기의 인류와 지구의 문제를 동시대 미술을 매개로 오늘 우리 인류의 삶을 성찰하고, 보다 나은 삶을 모색하는 자리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패션과 사치재 브랜드들의 각축장으로 변했다. 비엔날레는 개막과 함께 수많은 사람을 수용하는 다양한 이벤트와 오프닝, 디너파티로 문을 열었다. 물론 그 중심에는 ‘누구나 이방인’(Stranieri Ovunque-Foreigners Everywhere)이라는 주제의 본전시, 즉 국제 미술 전시회가 열려 그간 외면당해 왔던 ‘남반구’와 자신의 땅에서 이방인이 되어 버린 ‘선주민’ 그리고 ‘외국인, 이주민, 디아스포라, 망명자, 난민, 식민유산, 퀴어 정체성’을 다시 돌아보도록 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하이패션과 사치재 브랜드의 잔치 또는 각축장이 열렸다. 베니스의 끝없이 좁고 긴 골목 사이에 자리한 수많은 전시가 문을 열었지만, 관객들의 눈에는 프라다(Prada), 디올(Dior), 버버리(Burberry), 토즈(Tod’s), 불가리(Bulgari), 스키아파렐리(Schiaparelli), 샤넬(Chanel), 루이비통(Louis Vuitton), 릭 오웬스(Rick Owens), 부첼라티 (Buccellati), 골든 구스(Golden Goose) 등의 사치재 브랜드가 개최하는 페스티벌, 칵테일 파티, 무도회, 갈라 디너, 레이브 파티는 물론 직접 전시를 열어 사치재를 감성재로 인식시키려는 박애(Philanthropic) 혹은 자선(Charity)이란 이름의 마케팅(Marketing)이 펼쳐졌고 많은 출품작가는 물론 영화, 음악, 패션계의 유명인사들은 모두 패션모델이 되어 주제와는 상관없는 ‘이방인’이 기꺼이 됐다.
 
물론 오늘날 비엔날레라는 행사가 동시대 미술과 미술가들을 매개로 사치재 산업과 고액금융(High Finance), 글로벌 정치와 대중문화가 서로 공생하는 관계로 발전했지만, 이는 새로운 일이 아니다. 원래 1895년 처음 열린 베니스 비엔날레는 오늘날 아트페어와 같은 성격의 미술 박람회 성격이 강했다. 당시 현대미술, 오늘날의 동시대 미술의 활성화를 위해 시장을 구축할 목적으로 특별히 만들어진 미술 행사였다. 그 후 1942년부터 1968년까지는 본격적으로 판매를 위해 전설의 이탈리아의 미술상 에토르 지안 페라리(Ettore Gian Ferrari, 1908~1982)가 운영하는 공식 판매사무실을 운영하면서 출품된 작품의 구매자를 찾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때 작가 또는 작가가 속한 화랑은 작품 판매가의 15%를 주최 측에, 그리고 2%를 페라리에게 지불했다. 하지만 미술시장의 상업적, 제도적 구조가 굳어지면서 1968년부터 공개적으로 작품을 판매하는 것은 금지되었지만, 여전히 작품 명제표(Artwork Label)에 소위 제공자(Courtesy)라는 이름의 화랑이 표시되어 있어 의향이 있다면 거래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2019년 이후 저속하다는 이유로 이것도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실 작가명만 검색해도 소속화랑이 나오는 지금 이 또한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셈이다.
 
물론 예술은 언제나 돈을 배척해왔다. 예술가들의 양심과 예술이 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순수’를 지향했기 때문이다. 60회를 맞는 베니스 비엔날레를 방문한 첫 번째 교황인 프란치스코 교황(Pope Francis)은 “예술은 인류를 위한 피난처”로 “예술의 과도한 상업화와 시장이 창의성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에 대해 경고했지만, 교황의 방문조차도 사치 산업자들에게는 호재였다.
제프리 깁슨 디올 레이디 아트 8과 협업한 백 사진디올X계정
제프리 깁슨, 디올 레이디 아트 8과 협업한 백 [사진=디올 X 계정]
 
◆사치업과 비엔날레
 
비엔날레는 크게 국가관 전시와 국제미술전이란 이름의 예술감독이 큐레이팅하는 본전시 그리고 30개의 부대전시(Collateral Events)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외에도 비엔날레 기간 중 수많은 전시가 베니스 전역에서 열리는데 국가관 전시는 해당 국가의 예산으로 개최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관은 자국기업의 후원이나 협찬을 받아 이루어진다. 한국관의 경우 현대자동차가 후원했다.
 
프랑스 그르노블의 현대미술센터인 마가쟁(Magasin)의 관장 셀린 코프(Céline Kopp)와 런던 웰컴 컬렉션(Wellcome Collection)의 큐레이터 신디 시소코(Cindy Sissokho)가 큐레이팅한 프랑스관의 줄리앙 크뤼제(Julien Creuzet) 전시는 문화 혁신가와 창작자를 지원하는 샤넬 문화기금(Chanel Culture Fund)과 호프만 라 로슈(F. Hoffman-La Roche) 제약의 루마(LUMA)재단이 후원했다. 개막 전에는 2024 샤넬 넥스트 프라이즈(Chanel Next Prize) 수상자들과 함께 화려한 만찬을 열어 축하했고 여기서 샤넬의 야나 필(Yana Peel)은 우아하고 열정적으로 예술은 “희망의 가장 큰 형태”로, 창작의 자유를 “궁극의 사치”라고 정의했다.

1920~1930년대 사치 산업에 입문하기 전 창립자인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의 화랑을 운영하며 예술가들을 지원했던 역사를 자랑하는 파리 패션 하우스 디올(Dior)은 베네치아 헤리티지 재단(Venetian Heritage Foundation)과 파트너십을 맺고 세레니시마(Serenissima)의 문화유산을 복원하고 지키는 기금모금 파티인 나우마키아(Naumachia)파티를 주최했다. 이와 함께 마리아 알리카타(Maria Alicata)와 파올라 우골리니(Paola Ugolini)가 큐레이팅한 ‘코스믹 가든’(Cosmic Garden)전을 열었다. 2023년 디올의 디자이너 마리아 그라치아 치우리(Maria Grazia Chiuri)의 가을 패션쇼를 빛낸 인도 뭄바이의 차나키아 공예 학교(Chanakya School of Craft)의 직물 예술 작품으로 재해석해 전통 공예가 어떻게 동시대 미술이 되는 지를 보여주는 전시다. 전통 기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기존의 경계를 초월해 집단 문화사에 뿌리를 둔 신선한 예술적 언어를 치환했다는 평가를 얻었다. 이와 함께 디올은 디올의 패션쇼에 무대를 담당했던 에바 조스핀(Eva Jospin)의 포르투니 미술관(Museo Fortuny) 전시도 후원했다. 또 비엔날레의 주제인 클레어 퐁텐(Claire Fontaine)의 아르세날레(Arsenale)에 설치한 물에 비친 모습이 장관인 60개의 네온작품, 미국관 제프리 깁슨(Jeffrey Gibson)도 디올 레이디 아트와 협업을 계기로 후원받았다.
 
영국관 주 스폰서는 버버리다. 크리스티(Christie's), 아트페어를 주최하는 프리즈(Frieze)도 후원했다. 버버리는 지난 비엔날레의 영국관도 후원했다. 존 아콤프라(John Akomfrah)의 ‘밤새도록 빗소리를 들으며’(Listening All Night To The Rain)는 기억, 생존, 독립, 변화하는 작가의 핵심 주제를 드러낸다. 크리스티는 나이지리아관도 후원했다. 이탈리아관은 기업의 이익을 국가에 환원하고 다른 기업의 모범이 되어 이탈리아 예술과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원하는 것을 독려하겠다는 취지로 토즈(Tod’s)가 후원했다. 이와 함께 현지 장인들과 함께 전통의 현대화 산업화를 위해 토즈의 고미노 드라이빙 슈즈를 재해석한 ‘장인정신의 예술’(The Art of Craftmanship)을 위해 11명의 베니스 장인들의 유리, 가죽 등의 작품을 전시했다. 전시의 개막식 만찬에는 이탈리아 가수 안드레아 보첼리(Andrea Bocelli)의 공연과 함께 배우 애드리언 브로디(Adrien Brody), 헤일리 앳웰(Haley Atwell), 장쯔이(Zhang Ziyi), 케이타 마체다(Keita Macheda) 등이 참여했다.
 
영화에 진심인 불가리의 베아트리체 불가리(Beatrice Bulgari)가 2019년 설립한 예술영화 사이 재단(Fondazione in Between Art Film)은 베니스 비엔날레 기간 중 ‘안개(Nebula)’라는 주제로 11명의 작가의 작품제작과 전시를 후원해 영화와 예술 사이의 공간을 탐험한다.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부첼라티는 ‘보석의 왕자, 고전의 재발견’(The Prince of Goldsmiths)전을 오피치네 800에서 열었다. 이날 무도회는 결코 토즈나 디올의 만찬에 뒤지지 않았다. 샤넬의 라이벌 스키아파렐리가 주최한 만찬도 매우 내밀하게 열렸다. 릭 오웬스는 파트너 미셸 라미(Michèle Lamy)의 생일파티를 리도에서 열었다. 또 베니스의 신발브랜드 골든 구스도 베니스의 산업항구 마르게라에 새로운 본사를 마련해 전시와 함께 파티를 열었다. 이탈리아 속옷업체인 인티미시미(Intimissimo)는 모성애, 성욕, 신체 및 질병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를 반영한 ‘가슴’(Breasts) 이란 전시를 열었다. 전시수익의 30%를 암 연구 재단에 기부할 계획이라 한다. 루이비통은 베니스 플래그십 스토어에 ‘도시에 말을 거는 거리의 예술가’ 어니스트 피뇽 에르네스트(Ernest Pignon-Ernest)는 가혹하게 짧은 생을 마친 시인들을 소환해 소외와 고독을 통해 우리 시대의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을 향한 홉스적 관점을 드러낸다.
오토 딕스 전쟁삼부작 192931 합판에 혼합재료 204X468cm 사진정준모 큐레이터
오토 딕스, 전쟁(삼부작), 1929~1931 합판에 혼합재료 204X468㎝ [사진=정준모 큐레이터]
 
◆쩐의 전쟁?
 
하지만 이미 베니스에 상륙한 이들도 있다. 프랑스의 억만장자로 사치재 산업 집단인 케링(Kering) 그룹을 이끄는 프랑수아 피노(François Pinault)는 지난 20여년 동안 베니스에 푼타 델라 도가나(Punta del la Dogana, 2007)와 팔라조 글라시(Palazzo Grassi, 2005) 등 두 개의 거점을 마련해 베니스를 동시대 미술의 도시로 바꾸어 놓았다. 올해는 비엔날레 기간중 거장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의 개인전과 미국 작가 줄리 머레트(Julie Mehretu)의 장엄한 회고전을 동료작가들의 작품과 함께 열었다. 밀라노, 상해, 도쿄 등에 거점을 마련한 프라다는 2001년 4000만 유로에 건물을 구매해, 베니스 프라다 파운데이션을 세웠다. 이후 매년 중요한 전시로 비엔날레에 힘을 되어주었다. 2024년 올해는 스위스 작가 크리스토프 뷔헬(Christoph Büchel)의 ‘자비의 산(Monte di Pietà)’을 열었다. 전시는 부와 가난의 역설이 동시에 존재한다. 과거 프라다 파운데이션 건물이 물건을 담보로 대부업을 하던 일종의 전당포였던 사실을 바탕으로 마치 저장강박증을 연상시키는 작품을 선보였다.
 
집 없는 억만장자로 유명한 니콜라스 베르그루엔(Nicolas Berggruen)은 2021년 베니스 주데카 섬에 오시의 집(Casa dei Tre Oci)을 구입 해 문화예술연구소와 전시관으로 활용했다. 그후 다시 카나레지오의 디에도 궁전(Palazzo Diedo)을 구입해 작가들을 위한 레지던시와 함께 세계적인 유명작가들에게 장소 특정적 작품(Site Specific Art)을 제작해 특별한 공간으로 조성한다. 그 첫 전시로 우르스 피셔, 피에로 골리아, 카르스텐 횔러, 이브라힘 마하마, 마리코 모리, 스털링 루비, 짐 쇼, 스기모토 히로시, 타카노 아야, 이우환, 류웨이가 참여하는 ‘야누스’(Janus) 전을 열었다. 산 마르코 광장 건너편 산 조르조 마조레 섬(San Giorgio Maggiore)에 자리한 조르지오 치니 재단(Giorgio Cini Foundation)은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부호이자 정치가인 빅토리오 치니(Vittorio Cini,1885~1977)가 외아들 치니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후 산 조르지오 섬을 문화예술로 복원하는 일에 몰두했다.

재단은 미술사연구소를 비롯해 9개의 연구소를 운영하며 크고 작은 전시회를 통해 비엔날레의 볼거리를 보태고 있다. 이번 비엔날레에도 알렉스 카츠(Alex Katz), 헬뮤트 뉴턴(Helmut Newton), 패트릭 밈란(Patrick Mimran), 멘디니(Alessandro Mendini), 주테춘(Chu Teh-Chun)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베니스 인근 산 자코모섬(San Giacomo)을 새로운 현대미술 기지로 만들려는 토리노의 산드레토 레 레바우덴고 재단(La Fondazione Sandretto Re Rebaudengo)은 한국의 현대미용가 안은미를 불러 ‘핑키 핑키 굿: 산 자코모의 내일을 향한 도약’(Pinky Pinky “Good”: San Giacomo’s Leap into Tomorrow)을 열었다. 이렇게 비엔날레는 예술의 천국처럼 느껴지지만 실은 ‘쩐의 전쟁’에 다름 아니다.
 
자크 칼로Jacques Callot 전쟁에 매달린 고통과 불행 1633 동판화 사진정준모 큐레이터
자크 칼로(Jacques Callot), 전쟁에 매달린 고통과 불행, 1633, 동판화 [사진=정준모 큐레이터]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