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정연 "건설시장, 2분기에도 민간부문 부진에 하락세 전망"

2024-04-02 15:56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올해 2분기 건설시장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아울러 지난해 12월 신규 주택건설 인허가와 착공이 늘었지만, 이는 공공물량 증가에 따른 것이라 지속 가능성이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건정연은 덧붙였다.

    건정연 관계자는 "불확실한 주택시장 전망, 대출이자 부담 등 주택 매수에 대한 수요자의 부담이 지속되면서 섣부른 매수보다는 관망세 또는 전세 전환을 보이는 사례가 누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 글자크기 설정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해 2분기 건설시장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2일 발간한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에서 2분기 건설시장에 대해 "상방 요인에 비해 하방 요인이 크다"고 전망했다.
건정연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와 공사비 상승 부담이 여전해 민간 부문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진단했다. 지난해 각종 선행지표가 하락세를 보인 것도 이런 전망을 뒷받침한다. 건정연은 지난해 기준 건설 투자에서 민간 부문 비중이 80%에 육박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 중심 회복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민간 부문 건설경기 회복 조건으로는 공사비 안정과 금리 인하 등 금융시장 여건 개선을 지목했다. 건설공사비 지수는 지난해 이후 상승률 자체는 줄었지만, 공사비 금액 자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또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 500대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76.4%에 해당하는 기업이 현재 금리 수준에서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주택시장의 어려움도 2분기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주택 구매력이 약화하고, 공급 여건은 불확실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기 대문이다. 주택매매수급지수는 작년 9월 이후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세수급지수는 강보합 수준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지난해 12월 신규 주택건설 인허가와 착공이 늘었지만, 이는 공공물량 증가에 따른 것이라 지속 가능성이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건정연은 덧붙였다.

건정연 관계자는 "불확실한 주택시장 전망, 대출이자 부담 등 주택 매수에 대한 수요자의 부담이 지속되면서 섣부른 매수보다는 관망세 또는 전세 전환을 보이는 사례가 누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