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 영웅 형제' 화랑무공훈장, 70년 만에 가족 품으로

2024-04-01 13:29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6·25전쟁 당시 조국을 위해 싸우다 산화한 호국영웅 형제의 화랑무공훈장이 70여년 만에 유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그러던 중 지난해 11월 6·25전쟁무공훈장찾아주기조사단 확인 과정에서 이 이등상사의 구(舊) 제적등본(현 가족관계증명서) 기록이 발견됐다.

    조사단은 해당 서류에서 3형제가 6·25전쟁에 참전했으며, 이들 중 전사한 2명에게 화랑무공훈장이 서훈됐다는 내용을 확인했다.

  • 글자크기 설정

육군, '6·25전쟁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

 
 
한기성 25사단장이 장남 고 이형곤 이등상사중사의 화랑무공훈장을 유가족에게 전수하고 있다사진육군
한기성 육군 제25보병사단장이 1일 경기도 양주시 25사단에서 이형곤 이등상사(중사)의 화랑무공훈장을 유가족에게 전수하고 있다.[사진=육군]

6·25전쟁 당시 조국을 위해 싸우다 산화한 호국영웅 형제의 화랑무공훈장이 70여년 만에 유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육군은 1일 경기도 양주시 제25보병사단에서 한기성 사단장 주관으로 고(故) 이형곤 이등상사와 고 이영곤 일병에 대한 무공훈장 전수식을 거행했다.
 
이 이등상사와 이 일병은 경기도 파주 출신이다. 5남 1녀 중 장남인 이 이등상사는 1948년 6월에 입대해 수도사단 기갑연대 소속으로 참전, 1951년 3월 평창지구 전투에서 전사했다.
 
3남인 이 일병은 1951년 10월 입대 후 2사단 17연대에 배치됐으며 11월 금화지구 전투에서 전사했다.
 
형제는 전사 후 전투에서의 공을 인정받아 각각 화랑무공훈장 수여가 결정됐다. 하지만 긴박한 전쟁상황으로 ‘가(假) 수여증’만 부여된 상태로 7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러던 중 지난해 11월 6·25전쟁무공훈장찾아주기조사단 확인 과정에서 이 이등상사의 구(舊) 제적등본(현 가족관계증명서) 기록이 발견됐다.
 
조사단은 해당 서류에서 3형제가 6·25전쟁에 참전했으며, 이들 중 전사한 2명에게 화랑무공훈장이 서훈됐다는 내용을 확인했다.
 
이날 훈장은 5남인 이정곤 옹(81·베트남전 참전)에게 전수됐다. 이 옹은 “비록 고인이 되셨지만 두 분 형님들의 훈장을 받을 수 있어 영광”이라며 “형님들의 넋을 위로할 수 있도록 어려운 과정을 거쳐 훈장을 찾아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육군은 6·25전쟁 직후인 1955년부터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을 추진했다. 2019년에는 시급성을 고려 국회 입법을 통해 6·25무공훈장찾아주기조사단을 출범시켰다. 조사단은 출범 이후 실물 훈장과 증서를 받지 못한 무공훈장 수훈자 17만9000여명 중 14만9000여명을 찾아 훈장을 전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