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김효곤 기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3/20240223001813822199.jpg)
22일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백화점 매출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곳은 총 12개점으로 지난해보다 1개점이 늘었다. 연매출 1조원 이상 백화점 12곳 중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이 각각 4개점, 롯데백화점이 3개점, 갤러리아백화점이 1개점을 차지했다.
특히 신세계 강남점은 국내 백화점 최초로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단일 점포 매출 3조원이 넘는 백화점은 전 세계적으로도 영국 해러즈 런던(2022년 약 3조6400억원), 일본 이세탄 신주쿠점(2022년 약 3조1600억원) 등 두 곳에 불과하다.
롯데 잠실점에 이어 신세계 센텀시티점과 롯데 본점도 지난해 매출 2조원을 넘어서며 ‘2조원 이상 단일 점포’도 2022년 2곳에서 4곳까지 늘었다.
특히 현대백화점의 경우 연매출 1조원 이상 달성한 백화점 4곳 중 3곳이 객단가가 높은 3대 명품 브랜드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가 입점돼 있지 않다. 점포별 타깃층에 맞는 콘텐츠를 선보인 것이 매출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연매출 ‘3조 신화’를 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도 최근 2009년 이후 15년 만에 식품점을 리뉴얼해 집객 효과를 톡톡히 봤다. 대표적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 디저트 전문관 ‘스위트 파크’가 있다. 스위트 파크는 오픈 첫 주말에만 방문객 10만명이 몰렸다.
업계에서는 올해도 1조 클럽에 입성하는 백화점 수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9460억원)와 신세계 광주(8230억원) 등이 아쉽게 1조 클럽에 입성하지 못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제 백화점은 단순히 쇼핑하러 나오는 공간이 아니라, 식사와 문화, 콘텐츠 등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며 “콘텐츠 능력을 갖춘 대형 점포들은 계속 성장하고 그렇지 못한 곳은 매출이 지속 하락해 백화점 업계의 부익부, 빈익빈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