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계에서는 해운시황이 크게 악화한 상황에서 HMM 재매각을 시도한다 해도, 하림이 제시한 수준의 가격은 받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및 친환경 선박 전환에 직면한 HMM은 재매각 절차 등에 따른 경영 불안정으로 정상적인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7일 해운업계와 IB(투자은행)업계 등에 따르면 이번 하림과 산은·해진공의 6조원대 빅딜 무산의 원인은 채권단이 HMM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한 데 있다.
앞서 하림은 지난해 12월 진행된 HMM 지분 57.9% 인수전에 6조4000억원을 써내 동원그룹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후 진행된 하림과 채권단의 매각 전 협상은 산은과 해진공이 경영 주도권을 쥐려는 시도로 인해 난항을 겪게 됐다.
산은과 해진공의 2025년까지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인데 이 경우 하림의 지분이 희석되면서 38.9%로 내려앉게 된다. 반면 산은과 해진공의 지분은 32.8% 늘어 양측의 지분 격차가 6.1%포인트(p) 줄어 경영권을 위협받게 된다.
같은 이유로 채권단은 하림이 요구한 ‘주주 간 계약 유효기한 5년간 제한’도 거부했다. 현금배당 제한, 지분매각 금지, 정부 측 사외이사 지명권한 등의 조항을 유지하면서 사실상 채권단과 정부가 HMM의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간섭하겠다는 의도다.
하림 측은 컨소시엄인 사모펀드(PE) JKL파트너스만이라도 해당 조항에서 예외로 해줄 것을 요구했지만, 채권단은 JKL의 투자금 회수가 HMM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마저도 거부했다.
결과적으로 양측의 협상에서 경영권을 보장받기 힘들다고 판단한 하림은 협상 결렬이라는 결과를 도출했다.
하림으로의 매각 작업이 무산되면서 채권단의 HMM 민영화에 대한 고민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새롭게 매각 작업에 들어간다해도 이미 장기불황 초입에 들어선 컨테이너선 시황으로 인해 하림이 제시한 수준의 가격은 받기 힘들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HMM의 경영전략도 타격을 입게 됐다. 세계 2위와 5위인 머스크와 하팍로이드를 중심으로 새로운 해운동맹이 구축되는 등 해운업계의 격변이 일어나고 있음에도 민영화에 발목 잡혀 경영 및 투자전략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