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최대 자동차 노조 얻은 바이든, '블루칼라' 표심 흔드나

2024-01-25 15:44
  • 글자크기 설정

자동차 노조 지지 선언에 '메이드 인 아메리카' 외쳐

저학력 백인 유권자 표심 '흔들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전미자동차노동조합UAW의 정치집회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사진 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전미자동차노동조합(UAW)의 정치집회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사진= AP·연합뉴스]

미국 대선에서 백인 블루칼라(생산직 노동자) 표심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다. 재선에 도전하는 조 바이든 대통령은 '메이드 인 아메리카'를 외치며 '성난 백인’ 표심 흔들기에 나섰다. 성난 백인은 블루칼라 백인 남성 유권자를 일컫는 말로, 이들은 과거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를 견인했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미국 최대 자동차 노조인 전미자동차노조(UAW)는 올해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하겠다고 이날 선언했다.
 
UAW의 지지로 바이든 대통령의 대권 가도에는 파란불이 켜졌다. UAW 노조원은 38만명을 웃돈다. 과거 노조원이었던 수십만명의 퇴직자들은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 등 중서부 러스트벨트(제조업 쇠퇴지역)에 포진해 있다. 이들 지역은 대표적인 스윙스테이트(경합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층이던 저학력 블루칼라 백인 남성들이 다수 거주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뉴햄프셔 공화당 경선에서 대세론을 굳히며 재대결을 예고한 바로 다음 날, 바이든 대통령이 UAW 지지 확보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 '한 방' 날린 셈이다. 
 
숀 페인 UAW 위원장은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례 콘퍼런스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우리 파업에 동참해 연대한 첫 대통령”이라며 “도널드 트럼프는 사기꾼이다. 트럼프는 억만장자이며, 그들을 대변하는 사람”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연단에 오른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를 비롯해 이전 여러 정부에서 많은 미국인들이 자존심을 잃었다”면서 “많은 미국 기업들이 값싼 노동력을 찾아 해외로 나갔고, 거기서 만든 물건을 우리에게 되팔았다"고 외쳤다. 이어 "하지만 더 이상은 아니다. 세계 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메이드 인 아메리카'가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제조업 일자리가 중국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겠다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및 반도체법(칩스법) 등 경제 분야 성과를 자랑했다.
 
앞서 UAW가 지난해 미시간, 오하이오, 미주리주의 포드·스텔란티스·제너럴모터스(GM) 등 '빅3' 공장에서 대대적인 파업을 벌였을 때 바이든 대통령은 이들을 적극 지원했다. 현직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파업 현장을 찾아 시위에 참여했다. 당시 BBC는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하루 차이로 파업 현장을 찾은 점을 짚으며 “대선을 앞두고 블루칼라 표심 확보를 위한 첫 교전을 펼쳤다”고 평했다.
 
자동차 노조는 대선 때마다 주요 경합주에서 특정 후보에 표를 몰아주는 식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했다. 대권 가도를 위해서는 이들의 지지가 필수인 셈이다. 현지 유력 지역 신문인 디트로이트 뉴스는 UAW의 바이든 지지 소식을 전하며 “바이든이 트럼프가 누린 저학력 백인 유권자들의 힘을 활용하기 위해 블루칼라 노동자들의 표심을 흔들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과거 대선 때마다 ‘마가(MAGA,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정치·경제에서 소외된 블루칼라의 박탈감을 파고 들었다. 1990년대만 해도 자동차 생산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미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기업들이 생산 기지를 이전하면서 임금 수준은 크게 하락했다. 그러던 중 트럼프 전 대통령이 노동자들의 이익을 대변하겠다면서 제조업 부흥을 공약으로 내걸자, 이들의 표심은 트럼프 전 대통령으로 향했다. 

이를 의식한 바이든 대통령은 재선 성공을 위해 임기 내내 블루칼라 유권자에 공을 들였다. 미 노동관계위원회(NLRB)에 친노조 관료들을 임명했고, IRA 및 칩스법을 통해 자동차, 반도체 등 제조시설을 자국으로 유치하기 위한 정책을 과감하게 펼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