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배달·순찰 서비스 로봇을 중심으로 한 국내 로봇 시장이 본격적으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로봇이 인도를 오가며 배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제화가 이뤄지면서다. 글로벌 배송 로봇 시장의 규모는 2030년 50조원에 이르는 큰 시장이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드론과 로봇을 서비스 주체로 포함하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개정안이 지난달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배송 로봇 상업화의 길이 열렸다. 현행법에서는 배달·택배 운송 수단을 화물차와 이륜차로 제한하고 있었다. 이번 생활물류서비스법 개정안은 공포 후 1년 뒤부터 시행된다.
이전까지 배송 로봇 상용화는 여러 숙제를 안고 있었다. 로봇은 카메라를 달고 공공장소를 오갈 수 없었고, 인도 통행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에만 개인정보보호법, 도로교통법, 지능형로봇법 개정안이 차례로 시행되면서 실외 로봇 통행에 관한 근거가 마련됐다.
대기업이 최근 로봇 사업에 출사표를 던지게 된 것도 법적인 허들이 해소됐다는 판단에서다. 이전까지 배송 로봇은 중소기업의 실증 사업 위주였다.
LIG넥스원은 지난달 초 4족보행 로봇개로 유명한 '고스트로보틱스'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업계에선 4족 보행로봇이 정찰, 감시, 전투 등 군사용으로 활용될 수도 있지만 민수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 LIG넥스원의 사업 확장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본다.
현대글로비스는 현재 성수 사옥에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커피 심부름 등 배송 로봇 실증을 하고 있다. 향후에는 UPS, 페덱스 등 대형 물류업체에 맡겼던 배송 서비스를 로봇으로 대체하겠다는 복안이다. HL만도는 지난해 자율주행 순찰 및 주차로봇을 잇달아 선보였다.
현재 각 업체의 실외 로봇에 대한 안전인증테스트가 진행 중인데, 해당 절차만 끝나면 올해 안으로 자율주행 로봇이 배달과 택배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
자율주행 배송 로봇 사업을 준비 중인 로보티즈는 올해 1500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1대당 가격이 최대 3000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단순 계산으로 450억원의 매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통해 국내 로봇 매출 규모를 2030년까지 20조원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2022년 기준 국내 로봇 관련 기업(2509개사)의 총 매출액은 5조8933억원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30년까지 100만대 이상의 로봇을 보급하기로 했다. 로봇기업이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충분한 실적을 쌓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인증도 적극 지원한다.
국내 로봇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는 평가다. 자율주행 물류로봇 및 토털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 유진로봇은 지난해 독일 뮌헨지사를 설립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미 미국에 법인을 갖고 있는 로보티즈는 일본 RT와 판매 계약을 체결하는 등 시장 다각화에 나섰다.
물론 로봇 부품에 대한 국산화율을 높여야 하는 숙제는 남아 있다. 산업연구원(KIET)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제조용 로봇의 부품 국산화율은 50% 안팎이다. 부품별로 보면 모터 38.8%, 감속기 35.8%, 센서 42.5%, 제어기 47.9% 수준에 불과하다. SW도 30%대다.
업계 관계자는 "로봇도 자동차만큼이나 유망한 사업"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국산 부품의 가격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드론과 로봇을 서비스 주체로 포함하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개정안이 지난달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배송 로봇 상업화의 길이 열렸다. 현행법에서는 배달·택배 운송 수단을 화물차와 이륜차로 제한하고 있었다. 이번 생활물류서비스법 개정안은 공포 후 1년 뒤부터 시행된다.
이전까지 배송 로봇 상용화는 여러 숙제를 안고 있었다. 로봇은 카메라를 달고 공공장소를 오갈 수 없었고, 인도 통행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에만 개인정보보호법, 도로교통법, 지능형로봇법 개정안이 차례로 시행되면서 실외 로봇 통행에 관한 근거가 마련됐다.
대기업이 최근 로봇 사업에 출사표를 던지게 된 것도 법적인 허들이 해소됐다는 판단에서다. 이전까지 배송 로봇은 중소기업의 실증 사업 위주였다.
현대글로비스는 현재 성수 사옥에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커피 심부름 등 배송 로봇 실증을 하고 있다. 향후에는 UPS, 페덱스 등 대형 물류업체에 맡겼던 배송 서비스를 로봇으로 대체하겠다는 복안이다. HL만도는 지난해 자율주행 순찰 및 주차로봇을 잇달아 선보였다.
현재 각 업체의 실외 로봇에 대한 안전인증테스트가 진행 중인데, 해당 절차만 끝나면 올해 안으로 자율주행 로봇이 배달과 택배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
자율주행 배송 로봇 사업을 준비 중인 로보티즈는 올해 1500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1대당 가격이 최대 3000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단순 계산으로 450억원의 매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통해 국내 로봇 매출 규모를 2030년까지 20조원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2022년 기준 국내 로봇 관련 기업(2509개사)의 총 매출액은 5조8933억원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30년까지 100만대 이상의 로봇을 보급하기로 했다. 로봇기업이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충분한 실적을 쌓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인증도 적극 지원한다.
국내 로봇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는 평가다. 자율주행 물류로봇 및 토털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 유진로봇은 지난해 독일 뮌헨지사를 설립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미 미국에 법인을 갖고 있는 로보티즈는 일본 RT와 판매 계약을 체결하는 등 시장 다각화에 나섰다.
물론 로봇 부품에 대한 국산화율을 높여야 하는 숙제는 남아 있다. 산업연구원(KIET)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제조용 로봇의 부품 국산화율은 50% 안팎이다. 부품별로 보면 모터 38.8%, 감속기 35.8%, 센서 42.5%, 제어기 47.9% 수준에 불과하다. SW도 30%대다.
업계 관계자는 "로봇도 자동차만큼이나 유망한 사업"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국산 부품의 가격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