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 허덕이는 기업들···10억 초과 예금, 10년 만에 줄어

2023-11-01 15:03
  • 글자크기 설정

정기예금 중심 감소 전환···부채 상환 부담 커져

기업 체감 금리 뛰고 투자처 마땅치 않은 영향도

사진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잔액 10억원이 넘는 예금의 총 규모가 10년 만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기업대출이 1200조를 웃도는 가운데 기업들이 이자 상환에 부담을 느끼면서 은행에 맡긴 돈을 빼 빚 갚기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은행의 저축성예금(정기예금·정기적금·기업자유예금·저축예금) 중 잔액이 10억원을 초과한 계좌의 총예금은 772조427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말(796조3480억원)과 비교해 23조9210억원(3.0%)이 줄어든 수치다.

고액 예금 잔액은 지난 2018년 상반기 500조원을 돌파하기 시작해 △2019년 하반기 600조원 △2021년 상반기 700조원을 넘어서는 등 줄곧 증가세를 이어왔다. 하지만 예금 증가세가 올해 상반기 꺾이면서 지난 2013년 6월 말 379조5800억원에서 같은 해 12월 362조8260억원으로 감소한 이후 10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정기예금의 감소 흐름이 전체 예금 감소 흐름을 주도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6월 말 기준 10억원 초과 정기예금 잔액은 538조816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5조7300억원(4.6%) 감소했다. 은행권에서는 가파르게 뛴 금리 때문에 예년보다 기업들의 이자 상환 부담이 커졌다고 진단한다. 절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금리가 지속되면서 기업들이 유지해 오던 정기예금의 만기가 도래했을 때 재가입하지 않고 해지해 차입금을 상환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기업대출 잔액이 불어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을 키우고 있다. 실제 예금은행의 9월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1238조2442억원으로 한 달 만에 11조3000억원이 불었다. 이는 지난해 10월(13조7000억원)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업대출금리 상단이 6%도 넘어서면서 기업들이 체감하는 금리 수준이 꽤 높아진 상황"이라면서 "그동안 기업들은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수익처, 투자처를 찾지 못해 유동성 보유 차원에서 현금을 확보해뒀다. 하지만 경기가 좋지 못하고 마땅한 투자 기회도 찾지 못하면서 그동안 보유해 온 현금으로 부채를 상환하는 경향이 생겼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기업예금 비중이 큰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의 고액 예금 계수가 감소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 2월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20조원을 차입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존 예금이 전 금융기관에서 감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