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6% 성장하는 데 그쳤다. 소비와 수출이 다소 개선되고 건설 관련 투자가 늘었지만 그 외 민간 부문 활력은 둔화세가 역력하다.
4분기에도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 대외 악재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큰 폭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워 정부 전망치인 연간 1.4% 성장률 달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 GDP 성장률은 0.6%(전 분기 대비)로 집계됐다. 지난 1분기 0.3%, 2분기 0.6%에 이어 3개 분기 연속 0%대 성장률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4% 상승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수출과 수입 증가율이 시장 전망보다 높게 나왔고 건설투자 역시 최근 경기 상황에 비해 숫자가 잘 나왔다"며 "반면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장비 투자가 줄어 상대적으로 낮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간소비는 일시적인 효과 해소로 상승 전환됐는데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GDP 성장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민간은 0.5%포인트로 전 분기(1.1%포인트) 대비 대폭 낮아졌다. 반면 정부 기여도는 -0.5%포인트에서 0.2%포인트로 플러스 전환됐다. 민간 부문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분기별 성장률 발표를 한 차례 남겨둔 가운데 정부 목표인 연 1.4% 성장률 달성을 위해서는 남은 4분기에 0.7% 이상 성장을 이뤄야 한다. 4분기 성장률도 0.6%대에 머물면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따져 목표 달성 여부를 따져야 할 판이다.
상황은 녹록지 않다.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와 미국 고금리 장기화가 국내 경제에 하방 압력을 높이고 있다. 국제 유가 상승 등에 따른 고물가 기조가 지속돼 소비자 심리도 악화되는 추세다. 최근 한은이 발표한 10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8.1로 9월(99.7)보다 1.6포인트 하락하며 석 달째 뒷걸음질했다. 기업 체감경기도 좋지 않다. 이날 발표된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 산업 업황 BSI(70)는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해 8개월 만에 최저치를 보였다.
신 국장은 "성장률 전망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등 IT 경기 회복 시점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대중 수출 향방이 중요하다"며 "현실적으로 불확실한 요인이 많다"고 인정했다.
이날 하이투자증권(1.2%)과 신한투자증권(1.3%) 등 증권가도 1.4% 성장률 달성이 어렵다는 보고서를 잇따라 내놨다.